이재용 회장 ‘인재 중시’…삼성청년SW아카데미 9기 수료
누적 취업자 5000명 돌파…취업률 약 85% 기록

SSAFY는 2018년 12월 1기 교육을 시작한 이래 8기까지 5831명이 수료했고, 이 가운데 4946명이 취업해 약 85%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조기 취업에 성공한 9기 수료생까지 포함하면 취업자 수는 5000명이 넘는다.
SSAFY 수료생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네이버, 쿠팡, 티맥스, 현대오토에버, KT DS, LG유플러스 등에 진출했다. 이들이 취업한 기업의 수는 1200개가 넘는다.
우수한 실력을 바탕으로 기업에 입사한 SSAFY 수료생이 이른바 ‘실전형 인재’로 인정받으면서, 150여개에 이르는 기업이 ▲서류 심사 면제 ▲코딩 테스트 면제 ▲서류 심사 가점 등 SSAFY 수료생에 대한 우대 정책을 시행 중이다.
SSAFY는 올해부터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은행과 업무 협약을 맺고 핀테크 소프트웨어(SW) 인재 육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 5대 은행은 5억원씩 총 25억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해 SSAFY 협력 비정부 기구(NGO)인 아이들과미래재단에 기부했다. 기부금은 SSAFY 교육생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SSAFY 수료생은 누적으로 5대 금융그룹에 총 550여명이 취업했으며, 금융권 전체로는 900여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수료식 다음 날부터 진행되는 SSAFY 채용박람회에는 120여개 기업이 참여하며, 5대 은행이 모두 참여하는 금융특화관이 운영된다. 금융특화관에서는 모의 면접과 채용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금융권뿐 아니라 SW 인재를 영입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업이 SSAFY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SSAFY에는 약 150명의 삼성 임직원뿐 아니라 네이버, 넥슨, LG유플러스, 롯데정보통신, 원익IPS 등 50여개(누적) 외부 기업 임직원이 참여했다.
삼성은 내부적으로 SW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데 힘쓰는 한편, 국가 차원의 SW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해서 지속 노력해 왔다. 이를 위해 ▲SW에 재능을 가진 대학생 발굴·육성을 위한 SW 멤버십(1991년) ▲대졸 신입 채용 시 SW 직군 신설(2011년) ▲인문계 출신 SW 인재 육성과 채용을 위한 SCSA(2013년)를 운영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의 SW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초·중학생 대상 SW 교육 프로그램 삼성주니어SW아카데미(2013년) ▲청년 취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삼성청년SW아카데미(2018년)를 시작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22년 10월 회장 취임 이후 SSAFY 광주 캠퍼스(2022년 10월), 부울경 캠퍼스(2022년 11월), 대전 캠퍼스(2023년 2월)를 연이어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교육생을 격려했다.
이 회장은 앞서 2021년 9월에는 SSAFY 서울 캠퍼스를, 2019년 8월에는 SSAFY 광주 캠퍼스를 방문하는 등 총 5차례 SSAFY 교육 현장을 찾아 SW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9년 방문 당시 “SW 인재 양성은 IT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라며 “어렵더라도 미래를 위해 지금 씨앗을 심어야 한다”라고 격려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