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 “은행, 경제위기에 방파제 역할해야”
“금융산업 앞에도 위험요소 가중되고 있어”
“은행권 소비자보호 강화해야”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이 은행 경영의 원칙으로 ‘경제 방파제로서의 기본’을 실천하자고 당부했다. 고객 중심의 영업으로 소비자보호 체계도 강화해 나가자고 전했다.
조 회장은 29일 신년사에서 “우리나라 실물경제는 글로벌 분쟁이 계속되고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대표되는 3고(高) 현상도 쉽사리 진정되지 않는 등 다양한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며 “금융산업 앞에도 위험요소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인은 금융 회복을 통해 경제생태계를 발전시켜 나갈 책임이 있다”며 “경제 방파제로서의 기본, 고객중심의 변화, 지속가능한 상생을 은행 경영의 원칙으로 삼자는 제언을 드린다”고 전했다.
조 회장은 “은행은 위기 시 경제의 방파제로서 충격을 흡수하고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지원해 경제생태계에 재기의 씨앗을 뿌리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며 “은행이 방파제로서 기본을 다하려면 건전성과 유동성을 더욱 엄격히 관리하면서 ‘비오는 날 고객과 우산을 함께 쓰고 걸어나갈’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은행연합회는 사원은행과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인 ‘2조원+α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마련했다”며 “다음달부터 지원방안을 실제 집행해 나갈 예정으로 민생경제에 따스한 온기가 돌 수 있도록 은행이 국민과 동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조 회장은 “은행의 자산관리부문에서는 완전판매, 적합성, 적정성 원칙 등을 중심에 두어 소비자보호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며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도 디지털화와 현지화를 통해 우리나라 은행이 진출한 국가의 경제에도 기여하는 진정한 동반자가 되자”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 회장은 “그간 은행은 시스템화와 제도화를 통해 ESG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해 왔다”며 “지난해에는 기후금융 기초 DB를 수립했고, 연간 1조원 규모의 사회적 책임 활동도 수행했다”고 전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상생을 위해 넓은 안목을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때”라며 “ESG 경영이 체계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스템과 제도를 구축하고 글로벌 선진 사례를 연구해 우리 실정에 알맞은 방안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 회장은 29일 신년사에서 “우리나라 실물경제는 글로벌 분쟁이 계속되고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대표되는 3고(高) 현상도 쉽사리 진정되지 않는 등 다양한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며 “금융산업 앞에도 위험요소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인은 금융 회복을 통해 경제생태계를 발전시켜 나갈 책임이 있다”며 “경제 방파제로서의 기본, 고객중심의 변화, 지속가능한 상생을 은행 경영의 원칙으로 삼자는 제언을 드린다”고 전했다.
조 회장은 “은행은 위기 시 경제의 방파제로서 충격을 흡수하고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지원해 경제생태계에 재기의 씨앗을 뿌리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며 “은행이 방파제로서 기본을 다하려면 건전성과 유동성을 더욱 엄격히 관리하면서 ‘비오는 날 고객과 우산을 함께 쓰고 걸어나갈’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은행연합회는 사원은행과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인 ‘2조원+α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마련했다”며 “다음달부터 지원방안을 실제 집행해 나갈 예정으로 민생경제에 따스한 온기가 돌 수 있도록 은행이 국민과 동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조 회장은 “은행의 자산관리부문에서는 완전판매, 적합성, 적정성 원칙 등을 중심에 두어 소비자보호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며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도 디지털화와 현지화를 통해 우리나라 은행이 진출한 국가의 경제에도 기여하는 진정한 동반자가 되자”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 회장은 “그간 은행은 시스템화와 제도화를 통해 ESG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해 왔다”며 “지난해에는 기후금융 기초 DB를 수립했고, 연간 1조원 규모의 사회적 책임 활동도 수행했다”고 전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상생을 위해 넓은 안목을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때”라며 “ESG 경영이 체계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스템과 제도를 구축하고 글로벌 선진 사례를 연구해 우리 실정에 알맞은 방안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규모 줄인다…5억 달러 넘게 축소
2김종민 '11세 연하♥' 눈 뜨자마자…"혼자 몸 아녔으면"
310년 간 청약 경쟁률 높은 지역 1위 '세종시'…2위는 부산
4영종도 '누구나집' 입주 지연 1년 째…갈등 여전
5정우성, 문가비 임신시켜 놓고…"외로운 건 어떻게?"
6대한항공, 日 구마모토 노선 재운항...1997년 이후 27년만
7베트남 新 통관법 시행 논의…하노이서 이커머스 포럼
8야구 이어 축구도 점령...골든블랑, 'K리그 우승 축하주' 됐다
9숨은 AI 고수 찾아라…패스트캠퍼스 AI 공모전 ‘GALA’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