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1심 선고에 쏠린 눈
5일 부당 합병 의혹 관련 선고 공판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부당 합병 의혹 등과 관련해 3년 넘게 재판을 받아온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1심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1심 선고 결과가 삼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삼성뿐 아니라 재계 안팎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재판에 휘말린 이 회장이 이른바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재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박정제·지귀연·박정길 부장판사)는 5일 이재용 회장 등의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에 대한 사건 선고 공판을 연다. 이 회장 등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17일 열린 결심 공판에서 이 회장에게 징역 5년과 벌금 5억원을 구형한 바 있다.
재계에선 당시 검찰의 구형에 대해 “수위가 높다”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 회장은 최후진술에서 “이 사건 합병과 관련해 저 개인의 이익을 염두에 둔 적이 없다”라며 “제 지분을 늘리기 위해 다른 주주분들께 피해를 입힌다는 생각은 맹세코 상상조차 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부당 합병 의혹 등과 관련해 2021년 4월부터 작년 11월 결심 공판까지 총 106번 열린 재판에 95번 출석한 것으로 파악된다. 해외 출장 등으로 불출석한 11번을 제외한 모든 재판 일정을 소화한 것이다.
국정농단 사태로 2017년 2월 구속 기소된 뒤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나기까지 354일,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이 선고된 뒤 가석방될 때까지 211일을 더하면, 이 회장이 구속된 기간은 565일이다.
삼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면, 이 회장에 대한 1심 선고 결과는 삼성뿐 아니라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할 것이란 진단이다. 최악의 경우 이 회장 부재 시 삼성의 미래 먹거리 발굴이 무기한 연장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난 2017년 하만 인수 후 멈춰버린 대형 인수합병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논리다.
재계에선 “이재용 회장이 이번 1심 선고에서 사법 리스크를 해소할 경우, 삼성의 미래 먹거리 모색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재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박정제·지귀연·박정길 부장판사)는 5일 이재용 회장 등의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에 대한 사건 선고 공판을 연다. 이 회장 등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17일 열린 결심 공판에서 이 회장에게 징역 5년과 벌금 5억원을 구형한 바 있다.
재계에선 당시 검찰의 구형에 대해 “수위가 높다”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 회장은 최후진술에서 “이 사건 합병과 관련해 저 개인의 이익을 염두에 둔 적이 없다”라며 “제 지분을 늘리기 위해 다른 주주분들께 피해를 입힌다는 생각은 맹세코 상상조차 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부당 합병 의혹 등과 관련해 2021년 4월부터 작년 11월 결심 공판까지 총 106번 열린 재판에 95번 출석한 것으로 파악된다. 해외 출장 등으로 불출석한 11번을 제외한 모든 재판 일정을 소화한 것이다.
국정농단 사태로 2017년 2월 구속 기소된 뒤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나기까지 354일,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이 선고된 뒤 가석방될 때까지 211일을 더하면, 이 회장이 구속된 기간은 565일이다.
삼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면, 이 회장에 대한 1심 선고 결과는 삼성뿐 아니라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할 것이란 진단이다. 최악의 경우 이 회장 부재 시 삼성의 미래 먹거리 발굴이 무기한 연장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난 2017년 하만 인수 후 멈춰버린 대형 인수합병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논리다.
재계에선 “이재용 회장이 이번 1심 선고에서 사법 리스크를 해소할 경우, 삼성의 미래 먹거리 모색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클라우드호스피탈, 글로벌 의료 서비스 혁신 이끌어
2STO 법제화 드라이브...증권가 시장 활성화 기대감 커진다
3변우석 업은 배스킨라빈스, X-마스 '케이크 전쟁' 승기 잡을까
4임지연, 씨스루에 두 팔 벌리며…"후회 없이 보여드릴 것"
5신한은행, 재외국민 위한 ‘신한인증서 발급 시범서비스’ 개시
6'금리 인하'에 소식에 은행 찾았지만...대출은 '첩첩산중'
7정병윤 리츠협회장 “국내 리츠 경쟁력 높이기 위한 과제 해결 필요”
8SK증권,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대표 직속 IB 총괄 신설
9MBK·영풍 시세조종 의혹 재점화…임시주총 변수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