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말 5%대서 1%p 상승
1조원 부실채권 매각 추진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올들어 6%대로 치솟았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높은 연체율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겪은 새마을금고 입장에서는 연체율 관리가 절실하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달(1월) 말 기준 6%대 수준이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6%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이후 7개월여 만이다. 새마을금고의 지난해 상반기 말 연체율은 5.41% 수준이었다. 연말에는 연체율이 5% 초반까지 떨어지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모습이었지만, 한 달 만에 1%포인트(p)가량 치솟았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단기간 급등한 이유로 부동산 PF 부실화가 꼽힌다. 건설 경기 침체로 관련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좀처럼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서 건설·부동산 기업들이 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새마을금고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하고자 한다. 캠코는 지난해 말에도 새마을금고의 1조원 규모 부실채권을 인수한 바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달 중으로 점검회의를 실시해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해당 회의에서 캠코의 새마을금고 부실채권 추가 인수 여부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