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휴학 신청한 의대생 5445명...전체 학생의 29% 규모

절차 거치지 않은 신청 더하면 더 많아
내달 수업 시작해야...단체유급 우려도

서울 시내 한 중형병원에서 의료업계 관계자와 의대생들이 의과대학(의대)과 이어진 통로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정부가 의과대학(의대) 입학 정원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기 위해 전국 의대생들이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휴학계를 제출해 반대 의사를 표시하는 식이다. 휴학계를 낸 의대생은 5445명에 달한다. 전국 의대에 재학하는 학생은 지난해 4월을 기준으로 1만8793명으로, 휴학계를 낸 의대생은 전체의 29% 수준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에서 휴학을 신청한 학생은 지난 9일을 기준으로 누적 5445명에 달한다.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휴학을 신청한 학생만 집계한 수치다. 절차를 지키지 않은 휴학 신청을 고려하면 집단행동에 동참한 의대생의 수는 더 늘어난다. 지난달 28일까지 휴학을 신청한 의대생은 1만3698명에 달하는 만큼, 휴학 신청이 처리된 의대생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지도교수나 학부모의 서명을 받지 않거나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휴학은 유효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집단행동에 동참하기 위한 이른바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라는 판단에서다. 교육부는 동맹휴학으로 승인된 휴학은 없다고도 설명했다.

휴학을 하지 않고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도 있다. 지난 8일을 기준으로 의대생이 수업을 거부한 대학은 10곳이었다.

집단행동이 오래 이어지면, 학생들이 집단 유급할 수 있다. 의대 학칙은 통상 학생이 수업일수의 3분의 1이나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 학점을 주는데 한 과목이라도 F 학점을 받으면 유급 처리된다. 대학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본과생들의 개강 일자를 기존 2월에서 3월 초로 미루거나, 개강 직후부터 휴강하고 있다.

하지만 4월에도 수업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않으면, 집단행동에 나선 학생들이 단체로 유급할 가능성이 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

6관저로 전한길 부른 尹…"우리 국민들 어떡하나"

7트럼프 한마디에...‘불닭’ 삼양식품 주가 날았다

8中, 트럼프 관세폭탄에 긴급 대응…부양책 논의 착수

9현대모비스, 북미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차 기술 공동개발’ 본격화

실시간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