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기업들, 팬데믹 기간 물건 가격 인상 빈도 늘렸다”

한은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가격 조정 빈도, 월 평균 11.0%→15.6%
“가격 조정 행태, 과거 수준 회복하는지 지속 점검해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이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가격 인상이 이전보다 더 빈번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에 따르면 기업들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격 인상 빈도를 늘리면서 비용 압력에 대응했다. 다만 가격 조정 폭은 팬데믹 이전과 비슷했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인상·인하빈도, 할인 등 일시적 조정 제외)는 월 평균 11.0% 수준(2018~2021년)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 중 인상 빈도가 늘면서 15.6%(2022~2023년)로 큰 폭 상승했다. 

평균적인 상품 가격 유지 기간은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반면 인하 빈도와 가격 조정 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로 패턴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제공 한국은행]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 저항 및 민감도,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했다”며 “이에 따라 물가 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추정했다. 

특히 유가 상승과 같이 물가에 주는 충격의 크기가 크거나 서로 다른 요인에 따른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 인상 빈도도 확대되면서 물가 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높였다. 또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가격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됐다. 

이 과장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 폭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시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며 “향후 물가 상황 판단 시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진스님 디제잉’ 말레이 불교계는 질책…“입국 막아 달라”

2맥쿼리자산운용 이수진 전무, 해외 PEF 첫 한국인 여성대표로 승진

3정부, 법원에 2000명 ‘의대증원’ 자료 제출…내주 집행정지 여부 ‘촉각’

4정부도 日 라인야후 행정지도에 뿔났다…네이버는 지분매각 가능성 시사

5강남 ‘20억’ 로또 누가될까…반포 원베일리 딱 1가구 풀린다

6“유미야, 오랜만이야”…화면 속 이야기는 끝났지만 ‘현실 마침표’ 아직

7거래소, 밸류업 공시 담담자 의견 청취…이달 중 가이드라인 확정

8조재구 대구 남구청장, 공약이행 '최우수 등급' 획득

9홍준표 대구시장, 제22대 당선자와 오찬 간담회... "지역현안 공동 대응키로"

실시간 뉴스

1‘뉴진스님 디제잉’ 말레이 불교계는 질책…“입국 막아 달라”

2맥쿼리자산운용 이수진 전무, 해외 PEF 첫 한국인 여성대표로 승진

3정부, 법원에 2000명 ‘의대증원’ 자료 제출…내주 집행정지 여부 ‘촉각’

4정부도 日 라인야후 행정지도에 뿔났다…네이버는 지분매각 가능성 시사

5강남 ‘20억’ 로또 누가될까…반포 원베일리 딱 1가구 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