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尹, ‘디지털 바이오’ 분야 200조 시대 열겠다…“R&D 투자 대폭 확대”

첨단 바이오산업, 반도체 이을 차세대 주력 산업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동부창고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열린 스물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디지털 바이오 분야에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26일 “첨단 바이오산업을 반도체 신화를 이어갈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며 “2020년 기준 43조원 규모인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 규모가 2035년까지 200조원 시대를 열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충북 청주 동부창고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24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석학들이 첨단 바이오산업을 미래의 ‘게임 체인저’로 꼽고 있다는 점을 상기하며 “무한한 기회와 엄청난 시장이 있는 첨단 바이오산업 도약을 위해 우리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AI와 디지털이 결합한 첨단 바이오로 대전환이 이뤄지면서 우리에게 큰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다"며 "그동안 다져온 바이오 역량에,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와 양질의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디지털 강국으로 전환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우리의 강점을 접목하면 '퍼스트 무버'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가 오는 7월 발표를 목표로 준비 중인 ‘대통령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의 전체적인 방향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디지털 치료제, AI 로봇 첨단 융합 기기와 같은 디지털 바이오에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며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정부는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세제 지원과 규제 개선을 통해 혁신 기술이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게 지원해 우리 기업이 시장과 산업을 선도하며 성장할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 “첨단 바이오의 성패는 양질의 바이오 데이터를 모아 제대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며 “다양한 바이오 데이터 시스템을 연계하는 바이오 데이터 플랫폼을 만들어 산·학·연, 병원 연구자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를 통해 의약품, 의료기기, 스마트농업 등 관련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계획이다. 글로벌 ‘톱5’ 기업을 배출하고, 현재 연 400개 수준인 첨단바이오 벤처 및 스타트업을 2035년까지 연 1000개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실시간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