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열 하나은행장 “퇴직연금 맞춤 솔루션…‘연금전문은행’ 역할 수행”
고용부와 ‘2024 퇴직연금 손님 세미나’ 개최
서울 이어 대전·부산·광주에서도 세미나 예정

이번 세미나는 퇴직연금 제도 패러다임의 변화와 제도별 대응 방법을 제시해 퇴직연금 기업 담당자들의 이해를 돕고, 퇴직연금 운용에 대한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국내 퇴직연금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질적 성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져, 기업의 퇴직연금 운영 방침을 수립하는 담당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하나은행은 각 기업의 퇴직연금 담당자들이 퇴직연금 제도 변화와 급변하는 금융 시장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나섰다. 지난 9일 서울을 비롯해 이달 17일 대전, 22일 부산, 5월 23일 광주 등 전국 주요 거점 지역에서 세미나를 개최해 퇴직연금 기업 담당자와 소통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이승열 하나은행장은 “퇴직연금 제도의 변화와 제도별 합리적인 대응 방법을 제시해 은행을 믿고 거래하는 기업과 가입자의 수익률 향상을 위한 최적의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도 평생 동안 믿고 맡길 수 있는 라이프 타임 파트너(Life-Time Patner), ‘연금전문은행’으로서 최선의 역할을 수행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와 개인형 IRP 손님을 대상으로 매 분기 말에 퇴직연금 관련 정보와 소식을 담은 뉴스레터 발송과 함께 이해를 돕기 위한 ‘비대면 라이브 세미나’도 개최하고 있다.
오는 2분기 라이브 세미나는 ‘2024년 사적 연금 분리과세 기준 금액 상향’과 ‘퇴직연금 위험자산 투자한도 제한’을 주제로 오는 12일 오후 5시에 ‘Zoom’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확정급여형(DB) 제도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독보적인 ALM(Asset-Liability Management) DB 자산관리솔루션 시스템을 활용해 퇴직부채 분석 및 목표수익률 달성을 위한 자산배분 솔루션을 제시한다. 또한 DC 제도를 도입한 기업의 임직원을 위한 모바일 연금닥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하나은행은 2023년 전(全)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 수익률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내어 지난해 IRP와 DC 퇴직연금의 원리금비보장 상품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 시중은행 1위를 차지해 ‘연금전문 1등 은행’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6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7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8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9정인교 통상본부장 8∼9일 미국 방문…USTR 대표와 상호관세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