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다나 박정희 동상이나 생각하는 대구시장"

고인은 지난 2019년 전세금 8400만원을 내고 입주했으나, 다가구 후순위 소액 임차인으로 최우선 변제금조차 받지 못해 전세 보증금 전액을 잃게 됐다. 이후 정부와 국회에 관련 특별법 개정을 촉구하고, 대구시에 대책 마련을 호소했지만 무응답에 직면했다.
대구시는 다른 시도들이 피해자지원센터를 만들고 법률·금융·주거지원 등 전문가 상담,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한 긴급지원주택 지원 및 이주비 지원, 긴급생계비 지원, 심리상담 및 의료비 지원 등을 하고 있을 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간, 홍준표 시장은 한국패션연구원 직원들의 미지급 급여 문제, 컨벤션뷰로 직원들의 실직 문제, 청년 예산 및 복지 예산 삭감 등 다양한 민생 문제를 외면한 채, 엉뚱한 데 신경이 쏠려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하루가 멀다하고 중앙 정치판 이슈에 뛰어들어 페이스북에 열중하고, 철 지난 박정희 기념사업에 세금 십 수억 원을 투입한다는 비난이다.
대구참여연대는 "지금 박정희 기념사업과 판다 임대가 급한가? 그 돈이면 전세사기 피해자를 도울 수 있고, 비정규직 노동자와 폐업의 위기에 처한 자영업자를 도울 수 있다"며, "시장이라면 이런 거부터 챙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2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
3‘똘똘한 1채’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역대 최고
4삼성물산, 4544억원 규모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 시공사 선정
5한미약품그룹 갈등 종결…지배구조 향방 주목
6불확실의 시대, 리더는 왜 독서를 멈출 수 없는가
72072년 나랏빚 7000조원…연금은 2057년 고갈
8신민아, 부동산 시세차익으로 100억.. '힙한' 상권 투자 효과
9좋은 일 속엔 나쁜 일이, 나쁜 일 속엔 좋은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