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세종시, 살기 좋은 韓 도시 1위…2위·3위는 어디

한국지역경영원 평가 결과 발표
세종시, 인구성장률 높고 평균연령 낮아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신도시) 전경. [제공 행복청]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세종시가 국내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로 꼽혔다. 세종시는 인구성장률 높고 평균연령이 낮아 높은 점수를 얻었다.

9일 세종시에 따르면 사단법인 한국지역경영원은 최근 이런 내용의 ‘2024년 대한민국 지속 가능한 도시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국내 전체 기초 시군구(228개)를 대상으로 인구, 경제·고용, 교육, 건강·의료, 안전 등 5개 영역과 관련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토대로 평가한 결과다.

해당 조사에서 2위는 경기 수원시, 3위는 전북 남원시, 4위는 대전 유성구, 5위는 서울 송파구가 차지했다.

부문별로 보면 세종시는 인구 규모·인구성장률·출생률·평균 연령과 관련한 지표를 토대로 평가한 인구 부문에서 1위에 올라 성장도시 타이틀을 얻었다.

인구 규모에서 2022년 말 기준 38만8927명으로 전체 50위에 그쳤으나 인구성장률 부문과 평균연령에서는 각각 전국 4위와 전국 1위에 올랐다.

특히 평균연령은 37.7세로 가장 낮아 1위를 기록했다.

재정자립도·상용직 비중·고용률·1인당 평균 소득·주택 소유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출한 경제·고용 부문에서 세종시는 합계 211.2점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경제활력이 높은 도시 4위에 선정됐다.

교육 부문은 2023년 통계청 자료를 기준으로 유치원과 초·중·고교 학급당 학생 수, 교원 1명당 학생 수, 인구 1000명당 사설 학원 수 등을 토대로 평가한 결과다. 세종시는 합계 71.9점으로 전체 97위에 올랐다.

안전 도시 부문은 통계청의 2022년 기준 지역 안전 등급 현황 자료를 활용해 점수를 매겼는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안전한 곳으로 평가됐다.

5개 영역 25개 지표를 토대로 측정한 지속 가능한 도시 총합에서 세종시는 총점 637.8점을 기록, 시군구 부문 및 시군구-기초구 통합 부문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한국지역경영원은 인구, 경제·고용, 교육, 건강·의료, 안전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세종시의 지속가능성이 전국에서 가장 큰 지방자치단체란 뜻이라고 풀이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번 평가를 통해 출범 12년 차를 맞는 세종시가 지방소멸 극복 모델로서 커다란 성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됐다”며 “단순히 종합 1위라는 순위에 만족하지 않고 잘된 부분은 전국으로 확산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렌지스퀘어, 호텔업협회와 협약…외국인 '와우패스' 활용도↑

2솔트룩스 그룹, 오픈 모델 및 에이전트 무상 제공…딥시크 대응 나서

3하우스쿡, 정수조리기 설치 장소 국내외 5000개소 돌파

4故 오요안나 괴롭힘 방조? 장성규 입 열었다

5흑백요리사 '에드워드 리 햄버거' 나온다

6현대차, 전기차 9개 차종 할인...“구매 부담 완화”

7도미노피자, 오는 14일까지 배달 주문 시 1만원 할인

8KG그룹 ”자사주 매입·소각 확대”…기업가치 제고 적극 나선다

9청도군, 2025 정월대보름 행사 개최... "전국 최대 달집 태우고, 전통 줄당기며 풍년 기원"

실시간 뉴스

1오렌지스퀘어, 호텔업협회와 협약…외국인 '와우패스' 활용도↑

2솔트룩스 그룹, 오픈 모델 및 에이전트 무상 제공…딥시크 대응 나서

3하우스쿡, 정수조리기 설치 장소 국내외 5000개소 돌파

4故 오요안나 괴롭힘 방조? 장성규 입 열었다

5흑백요리사 '에드워드 리 햄버거'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