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 도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본격화...착수비 100억 확보
1개 시추공 뚫는 비용 1000억원
내년도 예산 반영 국회 협조 요구
야당, 진상규명 요구로 난항 예상
![](/data/ecn/image/2024/06/16/ecn20240616000002.800x.0.jpg)
16일 관가에 따르면 정부는 7개 유망구조 중 1곳에 대한 탐사 시추를 계획하고 있다. 기간은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소요 비용은 약 1000억원이다. 정부는 노르웨이 시드릴사와 시추선 임대 등 용역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첫 탐사 시추를 위한 재원으로 100억원 정도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비용을 올해 착수금으로 쓰고 추가 비용 900억원을 첫 탐사 시추 작업이 끝나는 시점(내년)에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도 예산에 반드시 시추 관련 비용이 포함돼야 하는 상황이다.
이후에도 대규모 자금이 투입된다. 정부는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성공 가능성이 20%라는 점을 고려한 판단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최소 5년이 소요되며, 5000억원 내외의 비용이 발생한다.
정부는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지원도 약속한 상태다. 산업부는 지난 13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내년부터 석유공사 지원을 위해 정부 출자·성공불융자 등을 약속한 상황이다. 성공불융자는 위험도가 높은 사업을 이행하는 기업에 정부 자금을 대여하는 제도다. 사업에 실패할 경우 융자금을 면제해준다. 성공시에는 원리금과 별개로 특별 부담금을 추가 징수한다.
문제는 야당의 협조다. 내년도 예산 확보 등을 위해서는 국회 동의가 필수다. 하지만 야당은 진상규명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진상규명 없이는 시추 예산을 늘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대왕고래는 동해 심해 유력 가스전 후보지를 탐사하는 프로젝트다. 정부는 물리 탐사 과정을 거친 뒤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가스 및 석유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예상되는 매장 자원은 가스 75%, 석유 25%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발란스, 2027년 한국 지사 설립한다…이랜드와 라이선스 계약도 유지
2원/달러 환율, 美 소매판매 부진 영향에 소폭 하락
3크림, 티켓 거래 350% 성장…‘문화 소비 플랫폼’으로 진화
4“경기 어려운데 숨통 트이네”...카드수수료 인하에 가맹점주는 대환영
5한국투자증권, 상반기 리테일 영업 신입사원 공개채용
6메리츠증권 Super365, 예탁자산 5조원·고객수 10만명 달성
7"아파트에서 살래요"…작년 주택거래 아파트 비중 역대 최고
8“더는 못버텨, 실패한 정책”…카드노조 “수익 보존 장치 마련해 달라”
9퇴출 기준 높인 한국 증시… 일본·미국처럼 효과 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