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전 세계 홀린 ‘K-뷰티’…수출액 역대 최고 기대감에 관련株 들썩 [증시이슈]

코스맥스·한국콜마·애경산업 등 상승세

국내 화장품 관련 종목들이 동반 상승세다. ‘K-뷰티’ 영향력이 커지면서 올해 역대 최대 수출액을 경신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화장품 매장.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국내 화장품 관련 종목들이 동반 상승세다. ‘K-뷰티’ 영향력이 커지면서 올해 역대 최대 수출액을 경신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7일 오후 2시 20분 기준 코스맥스(192820)는 전날보다 300원(0.15%) 오른 19만5500원에 거래중이다. 한국콜마(161890)(5.85%), 애경산업(018250)(0.71%) 등 화장품주가 일제히 상승 중이다.

중소형 상장사들의 주가 상승 폭은 더 컸다. 올 들어 실리콘투 주가는 무려 545.3% 뛰었다. 토니모리(214420)(204.0%),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152.7%), 한국화장품제조(003350)(118.8%), 스킨앤스킨(159910)(68.2%), 에이블씨엔씨(078520)(42.2%), 한국화장품(123690)(35.7%), 제이준코스메틱(025620) 31.6%, 마녀공장(439090)(20.4%), 잇츠한불(226320)(20.1%), 코리아나(027050)(10.5%) 등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현재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지면 올해 연간 화장품 수출액은 기존 최대인 2021년의 92억2000만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는 관측에서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화장품류 수출 금액은 40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올해 1∼5월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최대 수출국 중국은 10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6% 줄었지만, 미국은 7억2000만달러로 67.8%나 늘었다. 또 일본(4억1000만달러)과 베트남(2억3000만달러)이 각각 26.6%, 24.6% 늘었다. 과거 중국이 국내 화장품 산업 성장을 이끌었다면 이제는 시장 다각화로 미국, 일본, 동남아, 유럽 시장 등이 골고루 성장 중이다. 올해 K-화장품 수출국은 170개국이 넘는다.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에서 K-화장품이 인기를 끌면서 국내 화장품 산업을 견인하는 모습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것도 화장품 기업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 올해 1∼4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486만6000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6.9%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전인 2019년 같은 기간의 88.8%에 달하는 것이다.

예전처럼 단체 관광객이 면세점을 돌며 화장품을 싹쓸이하던 모습은 사라졌지만, 관광객은 이제 올리브영과 다이소 등에서 중소기업 독립 브랜드인 소위 '인디 브랜드' 화장품을 많이 찾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임영웅, "마음이 드릉드릉" 말 한마디 했다가 곤욕

2정부, '소부장 핵심 기술' 육성 위해 700억 투입

3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

4美 전기차 시장서 테슬라 점유율 '뚝뚝'...현대·기아 '쑥쑥'

5신한카드, ‘제1기 쏠트래블 대학생 해외 원정대’ 발대식 개최

6日 새 지폐 인물에 '일제강점기 침탈 장본인'...서경덕 "역사 수정하려는 꼼수"

7멀쩡한 사람을 성범죄자로 오인..."화성동탄경찰서장 파면하라"

8'기부의 왕' 워런 버핏, 자선단체에 7조원 기부

9최태원 "AI 경쟁력 강화하라"...SK, 2026년까지 80조 확보

실시간 뉴스

1임영웅, "마음이 드릉드릉" 말 한마디 했다가 곤욕

2정부, '소부장 핵심 기술' 육성 위해 700억 투입

3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

4美 전기차 시장서 테슬라 점유율 '뚝뚝'...현대·기아 '쑥쑥'

5신한카드, ‘제1기 쏠트래블 대학생 해외 원정대’ 발대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