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펀드 순자산 1000조 돌파…“ETF·해외주식형 성장 견인”
금투자회 ‘2024년 상반기 펀드시장 동향’ 발표
"주식형 ETF서 해외주식형 비중 약 41% 확대"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올해 상반기 견조한 글로벌 증시에 힘입어 펀드 순자산이 98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10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펀드시장 동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6월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은 1069조5000억원으로 1년 전인 지난해 말 대비 98조1000억원(10.1%) 늘어났다. 구체적으로 공모펀드 순자산은 67조6000억원(19.4%) 증가한 415조9000억원, 사모펀드 순자산은 30조5000억원(4.9%) 증가한 653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 상반기에는 해외주식형 펀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해외주식형 펀드의 순자산은 56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6조원(39.4%) 증가했다. 이와 달리 국내주식형 펀드 순자산은 72조7000억원으로 2조6000억원(3.7%) 늘었다.
금투협 관계자는 “인공지능(AI) 열풍 속 반도체 관련주의 가치가 크게 올랐다”며 “팬데믹 이후 글로벌 경기가 비교적 연착륙하고 있어 투자심리가 견조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 순자산은 149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7조3000억원(13.1%) 증가했다. 해외채권형 펀드 순자산은 7조8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22.5%) 늘었다. 이는 물가 안정 흐름에 따라 국내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기대감이 커지며 채권형 펀드 투자가 늘어난 탓이라는 설명이다.
ETF가 성장을 견인했다. ETF를 제외하고 보면 주식형 공모펀드는 오히려 2조원 감소(5.0%)했다. 채권형 공모펀드는 1조3000억원 소폭 증가(5.0%)하는 등 성장이 정체됐다. 금투협 관계자는 “거래의 용이성 및 낮은 판매보수라는 장점을 장착한 ETF로 투자자금이 대거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며 “ETF를 제외한 공모펀드는 규모면에서 성장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자금 순유입(1∼6월 합계액) 기준으로 보면 올해 상반기 전체 펀드 시장에 총 64조9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유형별로 보면 ▲채권형 15조8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 14조원 ▲혼합자산형에 6조4000억원 ▲주식형 6조1000억원 등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2020년 말 이후 많은 투자자가 적극적인 투자활동을 하고 있지만 정작 노후를 대비하는 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등)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금투협은 분석했다. 2023년 말 기준 87.2%(333조원)에 달하는 연금 자금이 예·적금 등 원리금보장상품에 잠들어 있었다.
금투협 관계자는 “2020년 말 이후 적극적인 투자 활동이 나타났지만 정작 노후를 대비하는 연금에는 관심이 적은 것 같다”며 “연금 운용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6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7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8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9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