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병‧열사병, ‘더위에 쓰러졌다’…응급실행 1200명 육박
7월 31일 하루 온열질환자 91명 발생
“물 많이 마시고 활동 자제해야”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올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가 12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발생통계에 따르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가 가동된 지난 5월 20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전국 500여개 응급실 의료기관이 신고한 온열질환자는 1195명이었다. 이는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됐던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당시 온열질환자 수는 2355명이었다.
올해에는 정부가 폭염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던 지난달 31일 하루에만 91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78.7%는 남성이었고, 65세 이상 노인이 30.0%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21.5%), 노숙인을 제외한 무직(13.1%), 농림어업 숙련종사자(9.6%) 순으로 많았다.
대부분 낮에 환자가 발생했지만, 오후 6시 이후부터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응급실을 찾은 환자도 25.3% 수준이었다.
세부 질환별로는 열탈진(일사병)이 52.8%로 과반을 차지했다. 열사병(22.4%), 열경련(14.5%), 열실신(9.1%)이 뒤를 이었다.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며 발생한다.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가 열 자극으로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이다. 열경련에 걸리면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염분, 칼륨, 마그네슘이 부족해 근육경련이 발생한다. 열실신은 체온이 높아지며 뇌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해 생긴다.
질병청은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물 자주 마시기, 시원하게 지내기,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등 건강 수칙을 지켜달라며, 불가피하게 야외에 나갈 때는 챙 넓은 모자나 밝고 헐렁한 옷을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