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지나니 찜통 더위 지속…밥상물가 비상
농산물 물가 9.0% 상승..."8월부터 보다 안정적 흐름"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장마 이후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되는 등 찜통 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밥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농축산물 수급이 관리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 가격 상승은 물론 외식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높아진 탓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로 시작해 2∼3월 3.1%로 올랐다가 지난 4월(2.9%)부터 계속해서 2%대에 머무르는 중이다. 정부의 목표였던 '2%대 조기안착'이 상반기가 가기 전에 이뤄진 셈이다.
다만 6월 기준 2.4%까지 둔화하며 3달 연속 낮아지던 물가는 지난달 0.2%p 상승하며 하락세를 끊어냈다.
물가 상승을 견인한 주요 항목은 연초부터 장바구니를 괴롭히고 있는 농산물이다. 축산물(2.2%)과 수산물(0.9%)의 물가 상승은 크지 않았지만, 농산물이 9.0% 상승하며 농축수산물 전반 물가를 5.5% 끌어올렸다. 연초에 비해 공급과 작황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신선식품류는 7.7%의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사과(39.6%) 등 과일 가격 강세도 계속됐다. 배 가격은 154.6% 올라 통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 이변이 즉시 작황에 영향을 미치는 상추(57.2%)와 시금치(62.1%), 배추(27.3%) 등 채소류의 오름세도 무섭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현재 기상이 개선돼 작황이 회복 중이고 사과·배도 햇과일이 출하되며 8월부터는 보다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LG전자 베스트샵 송우점, 리뉴얼 기념 가전 세일 행사 진행
2중국 SNS도 관심집중…'윤석열 파면' 검색어 상위권 줄줄이
3‘배달 1등’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넘었다
4NH선물, 웹 기반 선물·옵션 전용 거래 시스템 ‘써핑보드 W’ 정식 출시
5‘출범 4년’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 "혁신으로 금융 경계 확장"
6신한라이프, 청계천 환경 개선을 위한 ‘청계아띠’ 봉사활동
7"또 폭탄 돌리기"…롤러코스터 정치테마주 '주의보'
8현대차증권, 국내 최초 모빌리티 분야 ‘KOC’ 획득
9삼성물산 패션부문, ‘투게더 위크’ 프로모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