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더위’에 온열질환자 2600명↑...‘단순 노무자’ 가장 많아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신고 현황’
온열질환 추정 누적 사망자는 22명

16일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온열질환자는 2652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2346명 대비 206명(13%) 증가한 수치다.
온열진환 추정 누적 사망자는 22명이다. 사망자는 전날까지 이틀째 발생하지 않았다.
올해 온열질환자 성별로는 남성 2063명(77.8%), 여성 589명(22.2%)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가 496명(18.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 494명(18.6%) ▲40대 376명(14.2%) ▲70대 329명(12.4%) ▲30대 328명(12.4%) ▲80세 이상 227명(10.4%) ▲20대 269명(10.1%) 순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자를 직업으로 구분할 경우 단순 노무 노동자가 609명(2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상 470명(17.7%) ▲노숙인 제외 무직 364명(13.7%)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229명(8.6%) 순으로 집계됐다.
질환별로 보면 열탈진이 1466명(55.3%)이 가장 많았고, 이어 ▲열사병 556명(21.0%) ▲열경련 372명(14.0%) ▲열실신 221명(8.3%) 순이었다.
질환 발생 시간은 ▲오후 2∼3시(10.7%) ▲오후 3∼4시(10.6%) ▲오전 6∼10시(10.4%)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장소는 작업장(31.3%)과 논밭(15.0%), 길가 9.3% 등 실외(78.8%)와 실내(21.2%)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6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7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8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9정인교 통상본부장 8∼9일 미국 방문…USTR 대표와 상호관세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