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제조사 넘어 세부적 내용 포함돼야”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인터뷰
배터리 화학 요소 등 세부 정보 공개 필요
벤츠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셀 결함’ 추정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단순히 배터리셀 제조사의 이름만 공개하기보다, 베터리셀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들이 공개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터리 전문가로 평가받는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16일 국내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소비자들의 선택할 권리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가 조금 더 자세히 공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전기차 배터리는 사실 자동차 엔진만큼 굉장히 중요한 부품이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안전을 고려했을 때 배터리 제조사뿐만 아니라 NCM(니켈·코발트·망간) 조성 비율 및 양극 소재 등 화학 요소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들이 드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장 배터리의 중국산 여부 보다, 배터리 제조사의 사고 이력 및 기본적인 기술력이 공개돼 소비자들이 직접 배터리 제조사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소비자 본인이 직접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게 좋은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또 최근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에 대해선 과충전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NCM 배터리 양극의 100% 용량은 (g당) 275mAh 정도”라며 “다만 실제로 사용하는 건 200~210mAh 정도이고 이를 100%라 규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충전 깊이와 화재는 관련이 있지만, 100% 충전은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가 100%라 말하는 건 안전까지 고려된 수명”이라며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들은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물리적인 제어 시스템 모두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인천 청라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배터리 셀 내부 결함’을 가장 합리적인 원인으로 추정했다.
윤 교수는 “해당 차량이 전소됐기 때문에 원인을 알기 어려운 부분은 존재한다”며 “가장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은 배터리 셀의 내부 결함”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 억 개의 셀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셀의 편차는 날 수밖에 없다”며 “그 편차 중 가장 밑단에 있는 셀 부분에 결함이 누적됐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편차가 낮다는 것이 제품의 질이 안 좋다는 의미는 아니”라며 “어느 제품이든 성능의 편차는 존재한다. 모든 설계는 그 편차 안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마진을 갖고 이뤄지지만, 확률적으로 (사고가) 아주 안 일어날 수는 없다. 결국 사고가 일어날 때 대처를 어떻게 잘하느냐가 중요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의 경우 E-GMP와 같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해 더 진보된 기술을 적용했다”며 “(적용 이후) 비충돌로 인한 화재가 한 건 정도밖에 없는 것으로 아는데, 그만큼 관리가 굉장히 잘 돼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잇따라 발표되는 각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대책들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토의와 검증을 거쳐 대책을 세우는 게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 금지는 마녀사냥의 느낌이 난다”며 “지금 당장 불안하니까 그런 대책이 심리적인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다. 다만, 이를 법제화하거나 규정화할 때는 인과 관계를 확인해 봐야 하므로 전문가들이 모여 심도 있게 토의하고 검증한 다음 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전기차는 결국 전 세계적으로 가는 방향”이라면서 “어떤 사고로 전기차 개발을 우회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결국 전기차 시대로 빨리 가느냐 천천히 가느냐의 차이인데, 우리나라 산업이 얼마만큼의 경쟁력을 확보할수 있는지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내 배터리 전문가로 평가받는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16일 국내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소비자들의 선택할 권리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가 조금 더 자세히 공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전기차 배터리는 사실 자동차 엔진만큼 굉장히 중요한 부품이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안전을 고려했을 때 배터리 제조사뿐만 아니라 NCM(니켈·코발트·망간) 조성 비율 및 양극 소재 등 화학 요소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들이 드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장 배터리의 중국산 여부 보다, 배터리 제조사의 사고 이력 및 기본적인 기술력이 공개돼 소비자들이 직접 배터리 제조사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소비자 본인이 직접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게 좋은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또 최근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에 대해선 과충전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NCM 배터리 양극의 100% 용량은 (g당) 275mAh 정도”라며 “다만 실제로 사용하는 건 200~210mAh 정도이고 이를 100%라 규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충전 깊이와 화재는 관련이 있지만, 100% 충전은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가 100%라 말하는 건 안전까지 고려된 수명”이라며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들은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물리적인 제어 시스템 모두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인천 청라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배터리 셀 내부 결함’을 가장 합리적인 원인으로 추정했다.
윤 교수는 “해당 차량이 전소됐기 때문에 원인을 알기 어려운 부분은 존재한다”며 “가장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은 배터리 셀의 내부 결함”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 억 개의 셀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셀의 편차는 날 수밖에 없다”며 “그 편차 중 가장 밑단에 있는 셀 부분에 결함이 누적됐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편차가 낮다는 것이 제품의 질이 안 좋다는 의미는 아니”라며 “어느 제품이든 성능의 편차는 존재한다. 모든 설계는 그 편차 안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마진을 갖고 이뤄지지만, 확률적으로 (사고가) 아주 안 일어날 수는 없다. 결국 사고가 일어날 때 대처를 어떻게 잘하느냐가 중요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의 경우 E-GMP와 같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해 더 진보된 기술을 적용했다”며 “(적용 이후) 비충돌로 인한 화재가 한 건 정도밖에 없는 것으로 아는데, 그만큼 관리가 굉장히 잘 돼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잇따라 발표되는 각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대책들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토의와 검증을 거쳐 대책을 세우는 게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 금지는 마녀사냥의 느낌이 난다”며 “지금 당장 불안하니까 그런 대책이 심리적인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다. 다만, 이를 법제화하거나 규정화할 때는 인과 관계를 확인해 봐야 하므로 전문가들이 모여 심도 있게 토의하고 검증한 다음 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전기차는 결국 전 세계적으로 가는 방향”이라면서 “어떤 사고로 전기차 개발을 우회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결국 전기차 시대로 빨리 가느냐 천천히 가느냐의 차이인데, 우리나라 산업이 얼마만큼의 경쟁력을 확보할수 있는지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명세빈 "17살 연하남에게…" 나이트 부킹썰까지
2"엎질러진 물…죽겠더라" 박현호♥은가은, 무슨 사연?
3한일 상의 회장단 "에너지·첨단기술 민간 협력 강화"
4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랙 프라이데이’ 역대급 흥행…일 거래액 100억 행진
5한경협 "조세 전문가 82%, 상속세 완화에 긍정"
6고양·의정부시·동대문구·세종시 '2024년 스마트도시' 인증
7BAT로스만스, 합성니코틴 전자담배 ‘노마드 싱크 5000’ 출시
8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규모 줄인다…5억 달러 넘게 축소
9김종민 '11세 연하♥' 눈 뜨자마자…"혼자 몸 아녔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