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 구조조정 분위기↑...올 상반기 가동률58.4%로 급감
잇단 석포제련소 사망 사고에 영풍 대표이사 구속
1공장 중심 인력감축 추진에 내부 반발도 거세

잇따른 근로자 사망 사고와 환경 관련법 위반 등으로 인해 공장 가동률이 크게 저하되자, 악화된 운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영풍 석포제련소는 최근 가동률이 크게 떨어진 1공장을 중심으로 지난달부터 하청업체와 협력업체 직원들을 내보내는 등 구조조정 절차에 돌입했다.
직원들이 나간 자리에는 영풍 직원들을 전환 배치했다. 자연스럽게 업무 강도와 위험도가 높아지면서 직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풍석포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 관계자는 “일단 하청업체와 협력업체 직원을 먼저 정리하고, 이후 석포제련소 소속 직원들의 10~20% 정도의 인력을 줄이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며 “인력 구조조정을 비판하는 현수막까지 내걸렸다”고 말했다.
영풍은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석포제련소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와 사망 사고 등으로 공장 가동률이 지속해 낮아지고 있는 데다가 경쟁력이 약화하면서 실적이 크게 악화한 데 따른 조처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구조조정은 영풍이 그간 지속해 온 실적 악화 흐름이 최근 더욱 가팔라지는 영향으로 보여진다”며 “공장 노후화와 투자 부재 등으로 영풍 석포제련소의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난 수년간 환경오염 사고와 사망 사고 등이 연이어 터지면서 공장조차 제대로 돌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영풍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석포제련소는 지난 2022년 이후 환경청과 고용노동부 등 관계 당국으로부터 35건의 제재를 받았다. 이런 영향으로 석포제련소의 가동률은 지난2022년 81.3%에서 2023년80%로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58.4%로 급격하게 떨어졌다.
이런 와중에 최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등으로 박영민 영풍 대표이사와 배상윤 영풍 석포제련소장이 구속된 상태로 수사를 받게 되자, 영풍 측이 내놓은 입장문도 빈축을 사고 있다.
영풍 측은 지난 4일 입장문에서 경영정상화를 위해 직무대행임원을 선임한다고 언급했다. 또 올해 초 안전보건혁신 10대 과제를 수립해 추진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그간 박영민·배상윤 대표가 모두 있었던 환경에서도 사망 사고가 이어진 점을 지적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그간 석포제련소에서는 영풍 장씨 일가가 경영 일선에서 빠지고 전문경영인을 앞세워 왔는데, 갈수록 경영 실적이 악화하고 사고가 빈발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오너가 직접 나서서 대대적인 투자 등을 통한 근본적인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지지’ JK김동욱, 이번엔 트럼프 저격 논란…뭐랬길래
2"1년+하루 근무하고 연차 15개 더 챙긴 퇴사자 괘씸" 갑론을박
3이지스자산운용, 영남지역 산불 피해 복구에 1억원 성금 전달
4'상호관세' 협상카드, 대만 "10년간 美서 290조원 구매할 것"
5이케아, 이마트·니토리와 맞붙는다...“경쟁사 있으면 오히려 좋아”
6‘어서와, 서울은 처음이지’...이케아, 10년 만에 도심 속으로
7미래에셋, TIGER ETF 2종 명칭 변경
8신한투자증권, 美 AI 애드테크 밸류체인 기업 몰로코 투자금 회수 완료
9iM뱅크·무보, 800억원 규모 ‘수출 패키지 우대금융지원 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