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美 기준금리 ‘빅컷’에 한은 10월 금리인하 전망 ‘솔솔’
- 커지는 ‘인하 압력’ 더해 물가안정·내수 부진도 인하 근거 뒷받침
집값 상승‧가계대출 등 관건…집값·대출 계속 뛰면 11월 이후로

연준은 9월 17∼18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에서 4.75∼5.0%로 0.5%p 낮췄다. 연준의 금리인하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당시였던 2020년 3월 이후 처음이다. 사실상 4년 반 만에 글로벌 경제·금융을 좌우하는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가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섰다.
연준의 빅컷으로 한은은 금리인하 압박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피벗의 가장 큰 전제 조건인 물가안정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114.54)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은 2.0%로, 2021년 3월(1.9%) 이후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물가안정 측면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또한 한은은 경기를 고려한 피벗 필요성에 공감하는 모습이다. 한은은 최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내수의 핵심 부문인 민간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2020년 말 대비 올해 8월 말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6.9%로 고령층이나 저소득가구 등 취약계층 구매력이 더 크게 위축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보고서에서 한은은 향후 기준금리 인하 시기·속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요인으로 금융안정 리스크(위험)와 함께 성장 흐름을 꼽았다. 하지만 최근 들썩이는 집값과 빠르게 불어나는 가계대출 탓에 금융안정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8월 사상 최대 증가 폭(+8조2000억원)을 기록한 은행권 가계대출 급증세는 뚜렷하게 꺾이지 않는 점은 변수로 꼽힌다. 실제로 9월 12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70조8388억원으로, 8월 말(568조6616억원)보다 2조1772억원 늘었다.
더구나 상환을 고려하지 않은 5대 은행의 주택구입 개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은 이달 들어 9일까지 3조645억원으로 집계됐다. 일 평균 3405억원에 이른다. 8월 4012억원 보다 15% 적지만 7월 3861억원 이나 6월 3617억원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다.
일각에서는 가계대출 관련 지표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지 않을 경우, 한은이 빠르게 금리인하에 나서기가 어려울 것으로 관측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10월에도 가계부채·부동산·환율 여건이 좋지 않을 경우, 한은은 11월 이후로 인하를 미룰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