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기 힘든 싸이 ‘흠뻑쇼’…온라인 암표 최다 적발
콘진원 ‘온라인 암표 신고 게시판 분석’
흠뻑쇼, 암표 15건…나훈아 콘서트는 4건
![](/data/ecn/image/2024/10/06/ecn20241006000014.800x.0.jpg)
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으로부터 받은 ‘온라인 암표 신고 게시판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게시판에 접수된 암표 신고는 총 3400건으로 집계됐다.
공연유형별로 살펴보면 음악공연분야의 암표 신고가 2556건(75.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팬클럽 미팅·페스티벌(519건) ▲게임분야(200건) ▲뮤지컬(125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암표가 주로 거래된 곳은 중고거래 플랫폼이다. 전체 80%인 2721건이 당근마켓, 중고나라 등과 같은 중고 거래 플랫폼에 대한 신고였고,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암표 거래 신고는 626건으로 집계됐다.
콘진원은 접수 받은 사례 중 144건의 유효신고를 확인했다. 이 가운데 ▲자체취소(발권자가 발권 취소) ▲소명확인(예매처 내부 규정에 따라 소명확인) ▲이용정지(부정거래 등이 의심돼 예매처 내부규정에 따른 이용정지) ▲현장본인확인 등에 대한 조치가 내려진 것은 109건으로 집계됐다.
109건 중 44건은 예매번호 및 좌석번호가 위조 또는 조작된 허위티켓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65건은 유효조치가 이뤄졌다. 이 가운데 ‘싸이 흠뻑쇼’에서 적발된 암표가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나훈아 2024 고마웠습니다 - 라스트 콘서트’ 4건 ▲‘2024 윤하 20주년 콘서트 <스물>’ ▲‘THE BOYZ 2ND WORLD TOUR : ZENERATION’ ▲‘싸이 올나잇스탠드 2023 <흰눈싸이로>’ ▲‘2024 파워풀 K-트로트 페스티벌’에서 각각 3건씩 적발돼 암표가 확인된 공연은 총 34개로 나타났다.
강유정 의원은 “암표 판매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보다 적발 시 받을 벌칙을 높이는 등의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며 “암표와 같은 부정 판매를 방지하기 위해 기술적·물리적 조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동산 반등 조짐?...주담대 전월比 1조7000억 늘었다
2한번 방송에 수익 100억?…이다해, 中 라이브 루머 해명은
3“자영업자 4명 중 1명, 한 달에 100만원도 못 번다”
4“너도 나도 금 사더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5오스템임플란트, ‘교정 기공’ 대회 연다...치과기공사 대상
6“상여금 받고 대출상환” 1월 은행 가계대출 줄어…지속 둔화 전망
7테일즈런너, ‘라스트 카오스’ 시리즈 최종 맵 공개
8위메이드, 지난해 영업익 81억원…‘흑자 전환’
9‘의료 AI’ 잘나가네…루닛·뷰노 가파른 외형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