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도 없다는데.." 해외여행 떠난 대학생, '이 병' 걸려 사망
뎅기열 사망자 매년 늘어, 동남아 發 가장 많아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파키스탄에 방문했던 한국 대학생이 뎅기열에 걸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약 1주일의 잠복기가 있기 때문에 증상을 파악하기 어렵고, 마땅한 치료제도 없어 위험 국가 방문시 질병당국의 주의사항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기후 변화와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모기 매개 질병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는 약 4만3200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고 404명이 사망했다.
우리나라 발생 환자도 전년동기대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부분은 유행 국가에서 매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된 후 입국했다. 지난 26일 기준 환자는 총 17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6명보다 16.4% 늘어났다.
유입 국가별로 보면 인도네시아 유입 환자가 64명(37.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필리핀이 44명(25.9%), 태국 22명(12.9%),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각각 8명(4.7%)으로 뒤를 이었다.
뎅기열은 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 등 뎅기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5일 ~7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발열기가 지나면 회복되지만 일부는 중증 뎅기열로 진행된다.
상태가 악화되어 쇼크 상태에 빠지게 되면 토혈, 혈변 등 출혈성 징후도 보인다. 치사율은 약 5%이고 조기에 치료받는 경우 1%까지 줄지만,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20%에 달한다.
질병관리청 "뎅기열 백신이나 치료제는 현재 상용화되지 않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여행 중에는 외출 시 3~4시간 간격으로 모기 기피제를 뿌리고 밝은색의 긴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기후 변화와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모기 매개 질병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는 약 4만3200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고 404명이 사망했다.
우리나라 발생 환자도 전년동기대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부분은 유행 국가에서 매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된 후 입국했다. 지난 26일 기준 환자는 총 17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6명보다 16.4% 늘어났다.
유입 국가별로 보면 인도네시아 유입 환자가 64명(37.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필리핀이 44명(25.9%), 태국 22명(12.9%),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각각 8명(4.7%)으로 뒤를 이었다.
뎅기열은 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 등 뎅기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5일 ~7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발열기가 지나면 회복되지만 일부는 중증 뎅기열로 진행된다.
상태가 악화되어 쇼크 상태에 빠지게 되면 토혈, 혈변 등 출혈성 징후도 보인다. 치사율은 약 5%이고 조기에 치료받는 경우 1%까지 줄지만,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20%에 달한다.
질병관리청 "뎅기열 백신이나 치료제는 현재 상용화되지 않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여행 중에는 외출 시 3~4시간 간격으로 모기 기피제를 뿌리고 밝은색의 긴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억’ 소리 나는 착장...지드래곤, 브로치만 1억 5000만 원
2영상 삭제...‘나는 솔로’ 정숙, 진짜 범죄자였다
3'성매매 의혹' 최민환 녹취록 분석...성범죄 변호사 "충격적, 접대수위 의심"
4우리금융 이사진 회동…조병규 연임 논의 아직
5캠핑 성지로 부상하는 '단풍 명소' 봉화
6올해 마지막 하회선유줄불놀이와 함께 즐기는 안동 미식, 기미주안 체험전
7고령군 디지털관광주민 12만 명 돌파... "다양한 할인혜택에 실제인구 4배 넘어서"
8소백산 정기를 담은 농특산물, 영주장날 농특산물대축제에서 만나요!
9대구 출생아와 혼인 증가세 반등... "일자리 요인이 가장 크게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