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경산업, 3분기 영업익 96억원…전년비 48% 감소
매출액 1653억원…전년 동기 대비 5%↓
“중국 수요 부진 영향”

3분기 누적 매출액은 5080억원, 영업이익은 43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0%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13.6% 감소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중국 수요 부진과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국내외 투자 확대의 영향으로 매출액과 이익이 축소되었으나 지속적인 투자로 글로벌 및 채널 다변화의 성과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화장품사업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570억원, 영업이익은 53.2% 감소한 39억원을 기록했다. 홈쇼핑 채널 운영 효율화를 비롯해 디지털 채널 성장, 다이소 등 신성장 채널 공략 등으로 국내 매출은 성장했으나, 중국 수요 부진과 마케팅 투자 확대로 실적이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소비 환경 악화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었으나 현지화 제품 출시, 유명 왕홍과의 협업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고객 다변화 및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중국 외 글로벌 시장의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한 노력도 이어갔다. 일본에서는 루나를 중심으로 현지 유통 채널 입점을 확대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미국에서는 AGE20’S 선케어류를 선보이는 등 안정적인 시장 안착을 위한 시도를 지속했다.
이 외에도 3분기에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춘 브랜드 운영에 집중했다. LUNA 글래시 레이어 틴트, AGE20’S 벨벳 래스팅 팩트 프루아 콜라보 에디션 등 주력 브랜드의 신제품 출시로 신규 고객 유입을 확대했으며, 국내외 팝업스토어 운영을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했다.
생활용품사업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1,082억원, 영업이익은 43.6% 감소한 57억원을 기록했다. 케라시스, 2080 등 퍼스널케어의 양호한 성장과 블랙포레, 랩신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지속 확대됐으나, 국내 소비 부진과 디지털 채널 경쟁 심화에 따른 비용 부담의 영향으로 실적이 감소했다.
생활용품사업은 3분기 글로벌 중심의 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에 노력했다. 북미, 일본 등 전략국가 중심으로 채널 및 제품 카테고리를 확장했다. 미국에서는 바디 및 헤어케어의 운영 품목군을 확대했으며, 일본에서는 온라인 채널에 바디케어 브랜드 ‘럽센트’ 등을 선보였다.
애경산업은 성장을 위한 국내외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글로벌 소비자들의 성향과 시장 환경을 고려한 제품 개발과 함께 팝업스토어 등 소비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 특히 비중국 국가에서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