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구로가 10억이면 말 다했죠" 집값 부담에 서울 떠난 거주자들, 어디로?

경기·인천 늘고 서울 줄어, 신규 택지 조성에 이동

지난 5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구일역이 10억원인데, 지하철로 4정거장만 가면 5억까지 떨어져요"

비싼 집값 부담에 서울을 떠난 거주자들이 지난 10년간 100만명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구도심은 물론 각 지역에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서울을 떠나려고 하는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4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약 10년간 경기도 순이동 인구수는 115만9129명으로 집계됐다.

순이동 인구수는 총전입자 수에서 총전출자수를 뺀 값으로, 순이동 인구수가 많을수록 인구 유입이 활발하다는 의미다. 올해 8월 순이동 인구수만 보면 경기(6234명), 인천(1785명)은 늘었지만, 서울은 3848명이 오히려 감소했다.

경기도의 순이동 인구수가 월등히 높은 이유는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것 뿐 아니라, 지하철 등 서울로 향하는 대중교통 인프라가 확충돼 있는 것에 더해 (서울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신도시에 거주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이에 경기 입주율과 입주전망지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의 '2014년 10월 아파트입주전망지수' 자료에 따르면 전월 대비 9월의 인천·경기권 아파트 입주율은 2.1%p 상승했다. 10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또한 경기도는 17.7%p 오른 반면, 서울은 8.6%p 상승했다.

한 경기도 거주자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에서 "구일역 근처에 있는 준신축 아파트가 10억원을 호가하는데, 4정거장 멀어진 부천 지역으로 이동하면 같은 컨디션이 6억원까지 내려간다"며 "출근시간은 15분밖에 늘어나지 않는데 서울에 살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

6현대이지웰, 복지몰 업계 최초 전자금융업 등록

7롯데홈쇼핑, 美 패션매장서 업계 첫 ‘현장 라이브커머스’ 연다

8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9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실시간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