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1900조 '역대 최대'인데...예대금리는 더 벌어졌다
대출 규제 효과 4분기 확인, 예대금리 낮춰야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13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2분기) 1895조8000억원보다 18조원 많을 뿐 아니라 관련 집계가 시작된 2022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가계신용 중 카드 대금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놓고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79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1779조8천억원보다 16조원 불었다. 역시 2021년 3분기 34조8000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1112조1000억원)이 19조4000억원 급증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3조4000억원 줄어 12개 분기 연속 줄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959조2000억원)이 석 달 사이 22조7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22조2000억원 불었고, 기타 대출까지 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최고치 갱신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금융권의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최근 지적에 나섰다. 기준금리가 0.25% 하락했음에도 예금금리는 내리는 반면 대출금리는 유지되거나 오히려 올랐기 때문이다.
한동훈 대표는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인 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더 내려갈 수도 있는데도 기업이나 가계가 부담하는 대출금리는 내려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대마진 차이가 이렇게 크게 오래 지속되게 되면 가계와 기업에 큰 부담이 된다"며 "예대마진을 줄이는, 대출이자를 낮추는 방향의 움직임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