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업비트서 사라진 '이더리움' 580억, 北 해커가 가져갔다

북한 정찰총국 소속 해커 집단 ‘라자루스’와 ‘안다리엘’

북한의 업비트 이더리움 탈취 과정 설명도. [사진 경찰청]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지난 2019년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해킹 공격으로 '이더리움' 580억원(현 시세 1조4700억원)어치 탈취당한 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경찰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019년 11월 업비트에 보관돼 있던 이더리움 34만2000여개가 탈취된 사건에 북한 정찰총국 소속 해커 집단 '라자루스'와 '안다리엘'의 소행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2022년 11월부터 해당 사건의 배후가 북한에 있다고 판단하고 수사를 이어 왔다. 북한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와 북한 어휘 사용 흔적 등의 증거,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공조로 확보한 자료와 종합해 내린 결론이다.

경찰 관계자는 "공격자 조직에서 사용한 통신기기에서 '헐한 일'이라는 어휘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헐한 일'은 '중요하지 않은 일' 이라는 뜻으로, 한국에도 남아 있지만 주로 북한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북한이 탈취한 이더리움의 57%는 이들이 개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암호화폐 교환 사이트 3곳을 통해 시세보다 2.5% 낮은 가격에 비트코인으로 바뀐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43%는 중국과 미국 등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51곳으로 분산 전송된 뒤 세탁됐다.

경찰은 가상자산 중 일부가 비트코인으로 바뀌어 스위스의 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4년에 걸쳐 스위스 검찰에 해당 비트코인이 한국에서 탈취됐다는 사실을 증명한 뒤 이 중 일부인 4.8비트코인(약 6억원)을 지난 10월 환수해 업비트에 돌려줬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계기로 경찰은 국내외 관계기관과의 협력체계를 더욱 굳건히 하겠다"며 "사이버 공격에 대해 범행 방법과 주체 규명은 물론, 피해 예방과 회복에도 최선을 다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이리드비엠에스,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2"이제 더는 못 먹어"…'일본판 쯔양' 먹방女 돌연 은퇴, 왜?

3내일부터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카드수수료 0.1%p 내린다

4중국서 울상 된 애플…알리바바 AI에 ‘러브콜’

5법원 “다크앤다커 저작권침해 아냐…넥슨에 85억원 배상”

6중기부, 중소기업 150개사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나선다

7셀트리온, 악템라 시밀러 앱토즈마 SC 제형 국내 허가

8경북 봉화군, 경북 화훼산업 중심지로

9대구 치과의료기업, 두바이서 544만 달러 계약 성공

실시간 뉴스

1아이리드비엠에스,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2"이제 더는 못 먹어"…'일본판 쯔양' 먹방女 돌연 은퇴, 왜?

3내일부터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카드수수료 0.1%p 내린다

4중국서 울상 된 애플…알리바바 AI에 ‘러브콜’

5법원 “다크앤다커 저작권침해 아냐…넥슨에 85억원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