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국내 신차 대수 11년 만에 가장 적다"…내수 침체 영향
1∼11월 국내 신차 등록 대수 150만대…전년比 6.1%↓

고금리 기조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이 내수에 악영향을 미친 가운데 경유차 등 내연기관차를 찾는 소비자가 크게 준 것이 등록 감소 이유로 지목된다.
17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49만8331대로, 작년 동기(159만6004대) 대비 6.1% 감소했다.
올해 연간 등록 대수는 164만대 정도로 예상되는데 이는 지난 2013년 154만3565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이 경우 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자동차 업계 탈탄소화 여파로 기존 내연기관차(휘발유차·경유차) 등록은 크게 준 반면 그 자리를 메꿔야 할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 등록은 그만큼 늘지 못한 것이 전체 등록 대수를 끌어 내렸다.
신차 등록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휘발유차는 올해 1∼11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5%(76만9919대→62만7835대) 줄었다. 경유차는 27만4252대에서 11만7931대로 57.0% 급감했다.
휘발유차와 경유차 등록 대수의 총감소량은 30만대에 이른다.
반면 올해 1∼11월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45만5468대로 역대 최다였지만 작년 같은 기간(35만3637)과 비교해서는 10만2000대(28.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기차 등록 대수는 지난해 1∼11월 14만9857대에서 올해 1∼11월 13만8921대로 7.3%(1만936대) 감소했다.
이러한 내수 부진 요인으로는 계속되는 경기 부진과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이 꼽혔다. 올해 하반기 임금 및 단체협상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생산이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도 이유로 지목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경기침체 영향을 많이 받는 우리나라에서 소비자들이 고금리 부담으로 신차 구입을 꺼리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