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 3명 中 1명 ‘취업 상태’
통계청,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발표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에 따르면 작년 10월 기준 등록취업자는 청년층 829만3000명, 중장년층(40~64세)1364만9000명, 노년층 312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 수 증가는 노년층에서 두드러졌다. 전년(2022년)과 비교했을 때 청년층은 19만명 줄었다. 중장년층도 7만8000명 감소했다. 다만, 노년층은 25만5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비중도 청년층(56.9→56.7%)과 중장년층(67.9→67.6%) 모두 줄었다. 정작 노년층(31.7→32.9%)은 늘었다. 노년층 전체 인구보다 취업자가 더 빠르게 늘면서 취업자 비중이 3명 중 1명꼴로 늘어난 것이다.
고령화도 빠르다. 지난해 10월 기준 노년층 인구는 전년 대비 45만1000명 늘어 94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 중 19.1%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이에 반해 청년층 인구는 29만 1000명 줄어든 1462만8000명으로 집계됐고, 중장년층의 경우 2만6000명 줄어든 2017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8.5%) ▲중장년층 건설업(16.6%)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30%)로 가장 높았다.
평균 소득은 중장년층이 425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청년층(2950만원)의 1.4배, 노년층(1846만원)의 2.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청년층과 노년층의 경우 ‘1000만원 미만’ 비율이 각각 32.5%, 54.0%로 가장 많고, 중장년층은 ‘1000만원~3000만원 미만’(27.9%)이 가장 높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