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65세 이상 노인, 3명 中 1명 ‘취업 상태’

통계청,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발표

한 노인이 구직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는 모습. [사지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65세 이상 노년층 3명 중 1명이 취업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에 따르면 작년 10월 기준 등록취업자는 청년층 829만3000명, 중장년층(40~64세)1364만9000명, 노년층 312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 수 증가는 노년층에서 두드러졌다. 전년(2022년)과 비교했을 때 청년층은 19만명 줄었다. 중장년층도 7만8000명 감소했다. 다만, 노년층은 25만5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비중도 청년층(56.9→56.7%)과 중장년층(67.9→67.6%) 모두 줄었다. 정작 노년층(31.7→32.9%)은 늘었다. 노년층 전체 인구보다 취업자가 더 빠르게 늘면서 취업자 비중이 3명 중 1명꼴로 늘어난 것이다.

고령화도 빠르다. 지난해 10월 기준 노년층 인구는 전년 대비 45만1000명 늘어 94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 중 19.1%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이에 반해 청년층 인구는 29만 1000명 줄어든 1462만8000명으로 집계됐고, 중장년층의 경우 2만6000명 줄어든 2017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8.5%) ▲중장년층 건설업(16.6%)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30%)로 가장 높았다.

평균 소득은 중장년층이 425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청년층(2950만원)의 1.4배, 노년층(1846만원)의 2.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청년층과 노년층의 경우 ‘1000만원 미만’ 비율이 각각 32.5%, 54.0%로 가장 많고, 중장년층은 ‘1000만원~3000만원 미만’(27.9%)이 가장 높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주항공, 신입·경력 정비사 공개채용 실시

2은행권, 사업자대출 금리 깎아준다…소상공인 ‘재기’ 초점

3KGM, 체리자동차와 ‘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 맞손

4BNK자산운용, 성경식 대표이사 취임

5굳갱랩스·코코스퀘어 손잡고 AI 스태프 솔루션 본격 상용화

6현대차, ‘2025 베뉴’ 출시… ‘스마트 트림’ 신설로 실속 강화

7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LG전자 HVAC 솔루션 깔린다

8카카오뱅크, '햇살론뱅크' 출시…포용금융 확대

9갤러리아百, 직영 편집숍서 ‘오마르 아프리디’ 상품 제안

실시간 뉴스

1제주항공, 신입·경력 정비사 공개채용 실시

2은행권, 사업자대출 금리 깎아준다…소상공인 ‘재기’ 초점

3KGM, 체리자동차와 ‘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 맞손

4BNK자산운용, 성경식 대표이사 취임

5굳갱랩스·코코스퀘어 손잡고 AI 스태프 솔루션 본격 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