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간 숨만 쉬고 모아야...내 집 마련에 멀어지는 서민들
PIR 중간값 13배, 세종 8.7배로 2번째

27일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6∼12월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직접 방문·면담 조사한 결과인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 13배였다. PIR은 월급을 전혀 쓰지 않고 모았을 때 내 집 마련에 걸리는 시간이다.
지난해 서울의 PIR 결과값은 2022년(15.3배)보다 낮아졌다. 수도권과 광역시도 같은 기간 9.3배에서 8.5배, 6.8배에서 6.3배로 줄었다. 고금리 여파로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의 가격이 하향조정되면서 PIR 하락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7배)으로 조사됐다. 이어 경기(7.4배), 대전(7.1배), 부산·대구(6.7배)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생애 첫 내 집 마련까지 걸리는 기간은 7.7년으로 전년(7.4년)보다 길어졌고, 전체 가구의 평균 주거기간도 8년으로 전년(7.9년)보다 길어졌다. 전체 가구 가운데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87.3%로 전년(89.6%)보다 2.3%p 떨어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