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도 계속 오른다...월가서 온스당 3000달러 전망
금, 실물자산 中 가장 유망한 자산
![](/data/ecn/image/2024/12/30/ecn20241230000040.800x.0.jpg)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월가 대표 투자은행인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등이 2025년 금 시장 전망에서 목표가격을 온스당 3000달러(약 441만원)로 제시했다. 귀금속·원자재 등 주요 실물자산 중에서도 투자 성과가 가장 유망한 자산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올해 금값 상승률은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승 랠리를 지속해 지난 10월 말 온스당 2800달러 선까지 올랐다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 대선 승리 이후 조정을 받았다.
가격 상승세가 꺾이긴 했지만,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선물 가격은 올해 들어 27일까지 약 27% 올라 같은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상승률(25%)을 앞질렀다.
내년에도 금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금리가 낮아질수록 높은 이자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금 보유에 대한 기회비용이 낮아게 된다.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2차례의 추가 금리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이에 투자은행들은 내년 상승률을 10% 내외로 전망했다. 나타냐 카네바 JP모건 글로벌원자재전략 수석은 "금은 여전히위험회피 자산으로서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며 "내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초기 거시경제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이 근거"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해경 "제주 해상서 10명 탄 어선 전복…현재 5명 구조"
2넷마블,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3월 20일 정식 출시
3찰흙으로 둔갑한 금괴, 공항도 무혈입성…무려 7억원 '꿀꺽'
493조 장전 메타, ‘한국 AI칩 설계 스타트업’ 눈독…창투사도 상한가
5심플랫폼, 코스닥 상장 통해 글로벌 시장 도약
6벤처투자 업계 반등 시작했다…지난해 벤처투자 규모 2023년 대비 9.5% 늘어나
7신풍제약, 뇌졸중 신약 2상서 병용 투여 안전성 확인
8하나증권, 美 스타 애널리스트 초청 ‘2025 글로벌 주식 대전망’ 세미나 개최
9美, 수입산 철강 관세 부과…韓 철강 수익 기반 악화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