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 행진하던 금값…“올해 3000달러는 안갈 듯”
골드만삭스, 연준 금리 인하 속도조절에 전망치 수정
![](/data/ecn/image/2024/12/30/ecn20241230000040.800x.0.jpg)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금값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
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에 가서야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말 전망치는 온스당 2910달러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올해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작년 11월 예측했으나 이를 수정한 것이다.
전망을 조정한 것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폭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설명했다.
미국 대선 이후 불확실성이 줄면서 금 기반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이 줄어든 것도 전망을 낮춘 요인이 됐다.
리나 토마스 등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금리인하 속도가 둔화하면 금 수요도 위축될 것으로 봤다.
금 가격은 지난해 미국의 완화적 통화정책과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 각국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매수세에 힘입어 27% 급등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초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이후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세가 주춤했다.
최근에는 연준 관계자들이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며 올해 금리인하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금값은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 기준금리 인하 폭을 75bp(1bp=0.01%포인트)로 잡고 있다. 이전 전망치인 100bp보다 작은 것이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가 있더라도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금값 폭등에 골드바 판매 급증...품귀 현상도 발생
2 해경 "제주 해상서 10명 탄 어선 전복…현재 5명 구조"
3넷마블,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3월 20일 정식 출시
4찰흙으로 둔갑한 금괴, 공항도 무혈입성…무려 7억원 '꿀꺽'
593조 장전 메타, ‘한국 AI칩 설계 스타트업’ 눈독…창투사도 상한가
6심플랫폼, 코스닥 상장 통해 글로벌 시장 도약
7벤처투자 업계 반등 시작했다…지난해 벤처투자 규모 2023년 대비 9.5% 늘어나
8신풍제약, 뇌졸중 신약 2상서 병용 투여 안전성 확인
9하나증권, 美 스타 애널리스트 초청 ‘2025 글로벌 주식 대전망’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