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불확실성에 보합권 혼조 마감…나스닥 0.06%↓
다우 0.25%↑·S&P 0.16%↑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6.84p(0.25%) 오른 4만2635.2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9.22p(0.16%) 상승한 5918.25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10.80p(0.06%) 빠진 1만9478.88에 마감했다.
미국 CNBC에 따르면 3대 지수 평균은 2주 연속 주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공개된 연준 12월 회의록에 따르면 대다수 위원들이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방 리스트가 증가했다고 판단했다.
회의록엔 "통화정책 전망에 대해 논의하면서 위원회가 정책 완화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 또는 그 근처에 있다고 지적했다"고 명시됐다.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적 관세 및 세금 계획이 인플레이션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채권 수익률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벤치마크 10년물 국채 금리는 한때 4.7%를 돌파, 지난해 4월 말 수준에 가까워졌다.
투자자들은 10일 발표되는 12월 임금 보고서를 기다리고 있다.
제프리 로치 LPL 파이낸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금리, 성장률, 인플레이션 경로를 모델링하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10일 놀랄 만한 고용지표가 발표될 경우 시장은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2“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3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4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
5삼성, 자체적으로 인증한 '중고 갤럭시' 판다...가격은?
6머스크 “한국, 3세대 지나면 인구 4% 수준…돌이킬 수 없어”
7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40만원 지원한다
8프랑스 당국, 애플에 1억5000만유로 과징금
9르노코리아, 2026년형 아르카나 공개… 4월 판매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