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 외국인 직접투자 24% 벤처자금 51% 미국으로 집중
한국, 외국 기술 · 자본 유치에 총력 펼쳐야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글로벌 자본의 미국 집중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글로벌 자본을 끌어들여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야 하는 K-스타트업 생태계도 해외의 기술·자본 유치에 신경써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안도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미국 정부기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 자본의 미국 집중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본을 통해 성장과 해외 진출의 마중물로 써야 할 K-스타트업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안 의원실에 따르면 미국 경제분석국 (BEA) 의 국제수지표를 분석한 결과 미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최근 3 년 동안(2021~2023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6~2019년 외국인 투자 규모는 연평균 9525억달러였는데, 2021~2023년은 연평균 투자 규모는 1조7994억달러로 89%나 상승했다.
세부항목별을 보면 직접투자(FDI)는 같은 기간 3465억달러에서 4112억달러로 19% 증가했다. 주식 · 채권 등 증권투자는 같은 기간 3897억달러에서 8685억달러로 123% 상승했다 .
경영 참여형 외국인 직접투자 역시 미국 집중이 가속화되고 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외국인 직접투자 통계를 분석하면 전 세계 외국인 직접투자 중 미국에 유입된 직접투자 비중이 2016~2019년 연평균 17%에서 2021~2023년 연평균 24%로 7%p 상승했다.
벤처·스타트업 투자 역시 미국으로 집중되고 있다. CB 인사이트의 ‘State of Venture 2024’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미국은 최근 5 년간(2020~2024년) 전 세계 벤처투자 금액 중 연평균 51% 를 차지했다. 전 세계 벤처 투자 규모는 2628억달러인데, 이중 미국 벤처에 투자된 규모는 1399억달러를 차지했다.
미국으로의 자본 유입은 민간투자 , 생산성 혁신 , 소비 세 가지 경로를 통해 경제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에 반해 해외 자본과 투자는 한국을 떠나고 있다. 한국은행의 국제수지에 따르면 2021~2023년 연평균 459억달러 규모의 자본이 유출했다. 특히 미국으로의 직간접 투자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도걸 의원은 “우리나라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 혁신적 성장을 이룩하려면 AI· 바이오 · 문화 콘텐츠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제 2 의 벤처 · 창업 붐을 일으켜야 한다 ” 며 , “ 이를 위해 AI 기반 빅데이터센터, 바이오 연구개발 · 실증 랩 , 융 · 복합 문화 공연 아레나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국가가 선제적 투자를 감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힘, '김문수→한덕수' 후보 재선출절차 돌입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영원한 뽀빠이' 안녕히…이상용 향년 81세 별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힘, '김문수→한덕수' 후보 재선출절차 돌입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