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美 고용강세에 금리인하 기대감↓…뉴욕 증시도 긴장

美증시 강세론자 “올해 금리인하 없을 수도”

뉴욕 월스트리트. [로이터=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작년 말 미국의 고용지표가 예상 밖의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증시 강세를 주도해온 대형 기술주들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10일(현지시간) 미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고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1%대 약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6.75p(포인트)(-1.63%) 내린 41938.4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1.21포인트(-1.54%) 내린 5827.0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17.25포인트(-1.63%) 하락한 19161.63에 각각 마감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5만6000명 증가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5만5000명)를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다. 실업률도 작년 11월 4.2%에서 12월 4.1%로 하락했다.

이날 고용지표는 미국 노동시장이 강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는 경제에 좋은 소식이다. 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리 하락을 기대하고 있던 금융시장에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고용지표 발표 직후 4.79%까지 고점을 높이며, 지난 2023년 11월 초 이후 1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미국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95%로 전장보다 3bp 상승했다.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이날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장 중 한때 5%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멀어지면서 증시도 출렁였다. 지난해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끈 대형 기술주들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은 메타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3.00%, 애플은 2.41%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1%대 하락세를 보였다. 

앞서 지난해 하반기 월가 안팎에서 미 노동시장이 급격히 냉각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고, 이는 연준이 지난해 9월 전격적으로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에 나서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노동시장이 시장 기대보다 강한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연준이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는 것에서 더 나아가 추가 금리인하를 중단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도 무게가 실린다. 

금융시장은 이달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기정사실화하고, 3월 회의는 물론 5월 회의에서도 금리를 계속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주항공, 신입·경력 정비사 공개채용 실시

2은행권, 사업자대출 금리 깎아준다…소상공인 ‘재기’ 초점

3KGM, 체리자동차와 ‘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 맞손

4BNK자산운용, 성경식 대표이사 취임

5굳갱랩스·코코스퀘어 손잡고 AI 스태프 솔루션 본격 상용화

6현대차, ‘2025 베뉴’ 출시… ‘스마트 트림’ 신설로 실속 강화

7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LG전자 HVAC 솔루션 깔린다

8카카오뱅크, '햇살론뱅크' 출시…포용금융 확대

9갤러리아百, 직영 편집숍서 ‘오마르 아프리디’ 상품 제안

실시간 뉴스

1제주항공, 신입·경력 정비사 공개채용 실시

2은행권, 사업자대출 금리 깎아준다…소상공인 ‘재기’ 초점

3KGM, 체리자동차와 ‘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 맞손

4BNK자산운용, 성경식 대표이사 취임

5굳갱랩스·코코스퀘어 손잡고 AI 스태프 솔루션 본격 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