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어묵, 국물과 함께 먹으면 ‘나트륨 폭탄’

높은 단백질 함량 만큼 나트륨 함량도 많아
끓는 물 데치면 나트륨 섭취량 줄일 수 있어

[사진 게티이미지 뱅크]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어묵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단백질 함량이 높으나, 나트륨 함량 또한 많아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국이나 탕으로 조리해 국물까지 섭취할 경우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소비자원은 14일 사각어묵 6종과 모듬어묵 6종 등 어묵 12종의 품질과 안전성, 표시 적합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대상 어묵 100g 기준 ▲단백질은 8∼14g(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15∼25%) ▲탄수화물 14∼32g(4∼10%) ▲지방 1.7∼5.8g(3∼11%) ▲포화지방 0.2∼1.0g(1∼7%) 등으로 일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탄수화물·지방·포화지방 함량은 낮았다.

어묵 100g당 단백질 함량은 삼진식품 ‘100사각어묵’이 14g으로 가장 많았다. CJ제일제당의 ‘삼호 정통어묵탕Ⅲ’가 8g으로 가장 적었다. 조사 대상 가운데 국물용 스프가 포함된 제품은 4종으로, 스프 1개당 나트륨 함량은 평균 1944㎎이다. 이는 라면스프와 비슷하다.

이 때문에 어묵 100g과 스프 1개 분량의 국물을 같이 먹으면 2324㎎(삼호 정통어묵탕Ⅲ)∼3704㎎(국탕종합)의 나트륨을 섭취하게 된다. 이는 나트륨 하루 영양성분 기준치인 2000㎎를 넘는 수준이다.

소비자원은 “어묵탕을 먹을 때는 국물 섭취를 줄여야 하고 끓는 물에 먼저 데쳐서 조리하거나 장류 사용량을 조절하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고 당부했다.

어묵을 끓는 물에 30초 데치면 나트륨 함량이 863㎎에서 654㎎으로 약 200㎎이 감소한다.

이 밖에 조사 대상 어묵 모두 중금속, 식품첨가물 등 안전성은 관련 기준에 적합했으나 일부 제품은 표시사항에 개선이 필요했다.

삼진식품 100사각어묵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표시하지 않은 고등어 유전자가 검출됐다. 실속모듬어묵에는 개봉 후 보관 및 섭취에 대한 주의문구 표시가 없었다. 삼진식품은 이들 제품에 관련 문구 표시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소비자원에 보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

6관저로 전한길 부른 尹…"우리 국민들 어떡하나"

7트럼프 한마디에...‘불닭’ 삼양식품 주가 날았다

8中, 트럼프 관세폭탄에 긴급 대응…부양책 논의 착수

9현대모비스, 북미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차 기술 공동개발’ 본격화

실시간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