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간단하게 냉면이나 먹자?” 서울 평균가 1만2000원 넘었다

외식물가 줄인상...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서울시내 한 유명 외식업체의 평양냉면 모습.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여름 대표 국민음식 냉면의 가격이 처음으로 1만2000원을 돌파했다. 원재료값의 상승과 인건비 등이 오르면서 버티지 못한 가게들이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17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사이트 참가격의 외식비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냉면 1인분 평균 가격은 1만2000원으로 처음으로 1만2000원을 돌파했다. 전년도 같은 기간은 1만1308원으로 약 6.1% 올랐다.

냉면 맛집으로 유명한 을지면옥과 봉피양도 가격 인상에 나섰다. 을지면옥은 지난해 평양냉면 가격을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2000원(15.4%), 봉피양은 1만50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1000원(6.7%) 각각 올렸다. 주요 재료인 메밀 가격 하락에도 육수에 사용되는 소고기 등과 기타 부재료, 인건비 등이 인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른 외식 음식인 삼겹살은 1인분 200g에 2만83원에서 2만282원으로 상승했다. 삼겹살은 지난해 5월 처음으로 2만원을 돌파한 후 7개월간 같은 가격이 유지됐다. 김치찌개 백반도 8192원에서 8269원으로 올랐다. 비빔밥(1만1192원)과 자장면(7423원)은 지난달과 같았다. 삼계탕은 1만7269원, 칼국수 9385원, 김밥 한줄도 3500원으로 같은 가격이었다.

외식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21.01로 전년(117.38) 대비 3.1% 상승했다. 2022년 7.7%, 2023년 6.0% 각각 오른 데 이어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6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7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8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9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실시간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