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골드만삭스 "美 관세 일시적 전망…4일 부과 직전 타협 가능성"
- 멕시코·캐나다 정상간 통화…"양자관계 더 강화키로"

골드만삭스는 2일(현지시간) "전망은 불확실하지만, 경제적 피해와 마약 펜타닐 유입 억제라는 조건 등을 고려할 때 관세 부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마약 펜타닐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한 고율 관세 부과의 결정 논리로 강조한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멕시코와 접한 남부 국경과, 캐나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펜타닐이 대량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펜타닐 제조를 위한 원료를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골드만삭스는 또 현재로선 관세 부과 절차가 진행되고 있지만, 4일 관련 행정명령 발효 직전 "마지막 순간에 타협될 여지도 있다"도 부연했다.
지금까지 멕시코와 캐나다 등은 미국 관세 부과에 보복 조처 단행 의지를 밝히면서도 한편에선 '협상 카드'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미국 행정부와 접촉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전날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하면서 이를 "플랜 B"라고 지칭했다.
멕시코 정부는 앞서 트럼프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플랜 A, B, C를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이는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통해 관세 조처를 피해 가는 것을 주요 목표(플랜 A)로 하면서도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보복 관세 또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비롯한 국제 분쟁화 등을 염두에 둔 언급이라고 현지 매체들은 짚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대미(對美) 연대 전선을 강화하고 나섰다.
캐나다 총리실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어제(1일) 미국 관세 부과와 북미 지역 경쟁력 유지의 중요성을 의제로 통화했다"며 "양국 정상은 공통의 관심 분야에서 협력하는 한편 끈끈한 양자 관계를 더 강화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