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작년 지방 분양 비중 절반도 못 미쳐…2010년 이래 최저

16만373가구 중 공급 비중 47.2%

서울 시내 아파트 신축 현장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작년 전국 분양 물량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랩스 자료를 토대로 연도별 분양물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한 16만373가구 가운데 지방 물량은 7만5668가구(47.2%)로 절반에 못 미쳤다.

이는 2022년과 2023년에 비해 각각 13.3%p, 1.6%p 줄어든 것으로, 2010년(45.7%)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이다.

지방 분양 비중은 한때 70%를 웃돌며 정점을 찍었다.

2011년 전체 분양한 17만7822가구 가운데 지방 물량은 70%에 해당하는 12만4467가구였으며 2012년에도 18만7683가구 중 13만5644가구(72.3%)가 지방에 공급됐다.

이후 2013년 58.0%, 2014년 65.5%, 2015년 49.8%, 2016년 52.8%, 2017년 52.7%, 2018년 51.9%, 2019년 48.1%, 2020년 50.4%, 2021년 56.8%, 2022년 60.5% 등으로 이전보다는 줄었으나 대부분 절반 이상을 유지했다.

그러나 2023년 48.8%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는 47.2%로 더 줄어들었다.

이처럼 지방 분양 비중이 감소한 것은 부동산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였던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과 달리 지방은 최근 수년간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특히 수도권과의 시장 온도차가 심화하고 공급 과잉 우려가 제기되면서 청약 시장이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건설사들은 지방의 경우 이미 계획했던 사업도 미루는 분위기다.

올해도 이러한 지방 분양 감소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올 2월 분양도 수도권은 전년 동월 대비 공급량이 2배 늘어나지만 지방은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할 전망"이라며 "지방 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으면서 건설사들이 분양을 미루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건설경기 한파, 집값 하락 겹악재 공포

2BEP, 태양광 발전 PF 완료...760억 규모

3한화, 베이커휴즈와 ‘저탄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 맞손

4 오픈AI·카카오 전략적 제휴…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5현대차그룹, 英·美 자동차상 ‘싹쓸이’

6스타트업을 향한 릴레이 응원 캠페인 ‘치킨런’ 실시

7강남3구 아파트 가격 2.5배 올라…평당 1억원 눈앞

8지난해 해외 수주산업 목표 달성 실패…올해는 성공할까?

9'줄서는 맛집 요리' 간편식 냈더니...대박 터졌네

실시간 뉴스

1건설경기 한파, 집값 하락 겹악재 공포

2BEP, 태양광 발전 PF 완료...760억 규모

3한화, 베이커휴즈와 ‘저탄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 맞손

4 오픈AI·카카오 전략적 제휴…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5현대차그룹, 英·美 자동차상 ‘싹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