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기관 신규채용 2만명 아래…5년 연속 감소
신규 정규직 2만명 중 청년 82.5%
![](/data/ecn/image/2025/02/10/ecn20250210000007.800x.0.jpg)
1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39개 공공기관이 채용한 일반정규직(이하 무기계약직·임원 제외)은 1만9920명이었다.
신규 일반정규직 채용은 2019년 4만116명에서 2020년 2만9480명을 떨어진 뒤 꾸준히 줄어서 2023년 2만207명에 달했고 지난해엔 1만명대로 내려왔다.
지난해 신규 일반정규직 중 청년은 1만6429명으로 전체의 82.5%였다. 이 비중은 2020년(74.8%)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정부의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목표는 2만4000명(청년 2만명)이었다. 결국 청년 신규 채용 부진이 전체 목표 달성 실패로 이어진 셈이다.
작년 신규 채용이 뒷걸음질 치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공공의료기관에서 채용을 크게 줄였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분석했다.
지난해 교육부 산하 11개 병원은 전년보다 40.7%(2214명) 감소한 3228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다.
전남대학교병원(-415명)·충남대학교병원(-330명)·경상국립대학교병원(-299명)·전북대학교병원(-257명) 등에서 채용 감소 폭이 특히 컸다.
지난해 의대 증원을 두고 촉발된 의정 갈등이 공공의료기관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 점도 일자리 문이 닫힌 요인으로 분석된다.
신규 채용 감소의 또 다른 요인은 공공기관도 민간기업처럼 당장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윤상 기재부 2차관은 지난달 14일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작년과 같은 목표지만 지정 공공기관수가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핵심 업무 채용 여력을 늘렸다"며 "2025년도 경영평가 시에 청년 등 신규 채용 확대를 위한 기관의 노력을 반영하고 신규 채용 인원 중 고졸자 비율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2시프트업, 지난해 영업익 1486억원…전년 대비 33.8%↑
3"김치 원산지는 중국" 딥시크 충격 발언…언어별 답변 달랐다?
4솔루엠, 스페인 ‘ISE 2025’서 AI 기반 첨단기술 공개
5이지스자산운용,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본격 운용
6대구 북구, 오겜 패러디해 '정월대보름 축제' 홍보
7호텔서 트럼프 취임식 본 홍준표, "국익 해칠 우려 있다"며 출장내역 비공개
8영주시, 12일 '2025 정월대보름 행사' 개최
9‘푸른 고래’ 딥시크, 영어보다 한국어 공격에 18% 더 취약…보안성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