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AI로 장보기 혁신한다…컬리, 맞춤 추천부터 검색 최적화까지 전방위 도입

AI 활용 상품 추천·검색 최적화 등 도입
기술 내재화 위해 해커톤 개최 등 전사적 노력

[사진 컬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유통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온라인 장보기 시장을 선도하는 컬리는 AI를 활용해 고객 경험을 한층 더 정교하게 다듬고 있다. 상품 추천부터 맞춤형 컬렉션 구성, 검색 최적화까지 AI 기술을 폭넓게 적용하며 차별화된 쇼핑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전사적 AI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해커톤까지 개최하며 기술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컬리가 AI를 활용한 사례 중 하나는 컬리 앱 등에서 노출되는 컬렉션의 구성을 AI가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컬렉션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상품을 모아서 노출해 고객의 쇼핑 편의를 높이는 방식이다. 컬리 담당자가 특정 주제를 입력하면 AI가 주제에 맞는 상품을 스스로 찾아 채워준다. 이를 통해 고객은 더 많은 상품을 발견하고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컬리 AI 개발에서 가장 대표적인 분야는 ‘상품 추천’ 영역이다. 현재 컬리 앱 내 장바구니에서 특정 상품을 담고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혹시 구매할 때 되지 않으셨나요?’ 라는 팝업창과 함께 추천 상품을 노출한다. 해당 기능 도입 후 노출된 상품의 구매전환율은 약 10% 상승했다는 게 컬리의 설명이다.

검색 경험의 질을 높이고자 초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AI 기반 검색 기술 개발도 진행 중이다. 단순 오타, 유의어, 띄어쓰기 등은 물론 고객의 질의 의도에 적합한 유의미한 상품을 추천해줌으로써 고객 검색 편의를 높인다. 해당 기술은 작년 상반기에 베타 서비스를 적용했고, 올해 정식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AI 개발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를 전사로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하고 있다. 컬리는 작년 12월 생성형 인공지능(Gen AI)을 활용한 ‘컬리해커톤’을 주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애저오픈 AI 서비스’(Azure OpenAI) 언어모델을 활용했다. 행사에는 비개발자 포함 24개 팀 73명이 참여했고, 수상팀의 아이디어는 현재 사업 또는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6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7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8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9정인교 통상본부장 8∼9일 미국 방문…USTR 대표와 상호관세 협의

실시간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