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AI로 장보기 혁신한다…컬리, 맞춤 추천부터 검색 최적화까지 전방위 도입

AI 활용 상품 추천·검색 최적화 등 도입
기술 내재화 위해 해커톤 개최 등 전사적 노력

[사진 컬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유통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온라인 장보기 시장을 선도하는 컬리는 AI를 활용해 고객 경험을 한층 더 정교하게 다듬고 있다. 상품 추천부터 맞춤형 컬렉션 구성, 검색 최적화까지 AI 기술을 폭넓게 적용하며 차별화된 쇼핑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전사적 AI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해커톤까지 개최하며 기술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컬리가 AI를 활용한 사례 중 하나는 컬리 앱 등에서 노출되는 컬렉션의 구성을 AI가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컬렉션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상품을 모아서 노출해 고객의 쇼핑 편의를 높이는 방식이다. 컬리 담당자가 특정 주제를 입력하면 AI가 주제에 맞는 상품을 스스로 찾아 채워준다. 이를 통해 고객은 더 많은 상품을 발견하고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컬리 AI 개발에서 가장 대표적인 분야는 ‘상품 추천’ 영역이다. 현재 컬리 앱 내 장바구니에서 특정 상품을 담고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혹시 구매할 때 되지 않으셨나요?’ 라는 팝업창과 함께 추천 상품을 노출한다. 해당 기능 도입 후 노출된 상품의 구매전환율은 약 10% 상승했다는 게 컬리의 설명이다.

검색 경험의 질을 높이고자 초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AI 기반 검색 기술 개발도 진행 중이다. 단순 오타, 유의어, 띄어쓰기 등은 물론 고객의 질의 의도에 적합한 유의미한 상품을 추천해줌으로써 고객 검색 편의를 높인다. 해당 기술은 작년 상반기에 베타 서비스를 적용했고, 올해 정식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AI 개발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를 전사로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하고 있다. 컬리는 작년 12월 생성형 인공지능(Gen AI)을 활용한 ‘컬리해커톤’을 주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애저오픈 AI 서비스’(Azure OpenAI) 언어모델을 활용했다. 행사에는 비개발자 포함 24개 팀 73명이 참여했고, 수상팀의 아이디어는 현재 사업 또는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

실시간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