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준 신풍제약 전 대표...미공개 신약 개발 정보로 이득
임상 실패 결과 공개 전 지분 매도
신풍제약 "결과 알기 전 매도한 것"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이달 12일 정례회의를 열고 장 전 대표와 신풍제약 지주사 송암사에 대해 자본시장법상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 금지 위반으로 검찰 고발 조치를 의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현행법상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 행위는 내부자가 상장법인의 업무와 관련한 미공개 중요 정보를 특정 증권의 매매에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이용하게 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위반하면 1년 이상의 유기징역과 부당이득금 3~5배 규모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증선위에 따르면 장 전 대표는 신풍제약의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의 결과와 관련한 내부정보를 이용해 369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회피했다. 이와 관련해 2021년 4월 자신과 가족이 운영하던 송암사의 신풍제약 주식 지분을 시간외 대량 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도하기도 했다.
증선위는 장 전 대표가 임상 실패 결과를 미리 알고 주식을 처분해 손실을 회피했다고 보고 있다. 앞서 신풍제약은 연구개발(R&D) 중이던 코로나19 치료제의 임상 2상에서 주요 평가지표를 충족하지 못한 바 있다.
증선위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자본시장 참여자에게 모범을 보여야 하는 코스피 상장사 실소유주가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내부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한 사건"이라며 "사안이 엄중해 수사기관 고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신풍제약 관계자는 "해당 임상 관련 정보는 2021년 7월 정식 공개됐고, 내부적으로 알게 된 시점도 같은 해 5월"이라며 "이를 이용해 2021년 4월 블록딜에 나섰다는 건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한편, 장 전 대표는 2008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원재료 납품가를 부풀리거나 거래한 것처럼 꾸며 차액을 돌려받는 수법으로 비자금 91억원가량을 조성해 자사 주식 취득에 쓴 혐의로 이미 재판을 받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6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7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8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9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