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미국 통상정책 변화로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19일 ‘주력산업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올해 반도체 업황과 관련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되면서 국내 반도체 산업 성장의 하방 리스크(위험)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고성능 반도체 수출 호조가 지속되겠지만, 범용 반도체 수요 부진, 기저효과 등으로 반도체 전반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동차 수출에 대해선 "견조한 북미 수요에도 불구하고 유럽 판매 부진,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에 대응한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또 석유화학 업황과 관련, "글로벌 제조업 경기 개선 지연과 공급 과잉 등으로 생산과 수출이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철강 업황 역시 "국내 건설경기 침체, 중국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른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예고된 점은 추가 하방 리스크"라고 평가했다.
반면 조선 업황은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조선업 경기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가 이어지고 수익성도 더욱 개선될 전망"이라고 했다. 아울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 동맹국과의 협력 증대, 대중국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등은 국내 조선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