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뉴욕유가, 美 경기둔화 우려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WTI 2.5%↓
- 68.93달러 거래 마감

2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70.70달러 대비 1.77달러(2.50%) 내려간 배럴당 68.93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해 12월 10일 이후 가장 낮은 종가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76달러(2.35%) 하락한 73.02달러에 마무리됐다.
뉴욕장 들어 WTI 기준 배럴당 70달러를 웃돌던 국제유가는 오전 10시께 미국 콘퍼런스보드(CB)의 소비자신뢰지수가 비관적으로 나오자 급락했다.
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8.3(1985년=100)으로 전달보다 7포인트 하락했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화면번호 8808) 102.5를 큰 폭으로 밑돈 것은 물론, 지난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월간 하락 폭이다.
특히, 소득과 사업, 고용 상황에 대한 단기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지수는 72.9로 전달보다 9.3포인트 떨어졌다.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임곗값(80)을 밑돌았다. 80을 하회한 것은 지난 2024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이 지표가 나온 후 국제유가는 배럴당 60달러대로 진입했고 68~69달러 수준에서 주로 움직였다.
미국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도 오후 3시 18분 현재 4.3% 아래서 움직이고 있다. 위험회피에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하락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원유 수요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국제유가에 하방 압력을 줬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 국가에 대한 25%의 관세는 오는 3월 4일 발효된다.
맵시그널스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알렉 영은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둘 다 있는 상황"이라며 "관세는 둘 다 부채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버펄로 베이유 커머디티의 거시거래 책임자인 프랭크 몬캄은 "원유 시장은 경제 데이터가 지속해 부진한 것으로 나오자 또 다른 약세 압력을 받고 있다"면서 "이러한 경제 데이터의 연속은 원유 수요에 좋지 않은 징조"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1분기 역성장에…트럼프 "바이든 남긴 걸림돌 ..관세 상관없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美1분기 역성장에…트럼프 "바이든 남긴 걸림돌 ..관세 상관없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