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득 늘었지만...소비자는 지갑 잠궜다
지난해 4분기 가계 소득 521만원·소비지출 290만원

28일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 가구(이하 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당 소득은 521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8% 증가했다. 2023년 2분기 0.8% 감소한 후 6분기 연속 증가세다.
근로소득은 324만1000원으로 2.3% 늘었다. 사업소득은 109만1000원으로 5.5% 늘었고, 이전소득은 70만9000원으로 5.6%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2.2%였다. 지난해 2분기(0.8%) 이후 3분기 연속 증가했다.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도 290만3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5% 늘었다. 소비지출은 2020년 4분기(-2.3%) 마지막 감소 이후 16분기 연속 증가했다.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긴 기간이다.
다만 4분기 소비지출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낮다.
주거·수도·광열(7.6%), 음식·숙박(5.1%), 오락문화(11.1%), 보건(6.2%) 등에서 주로 늘었다.
주거·수도·광열은 월세 거래량이 늘고 가격지수도 오르면서 주거비 상승률이 12.9%로 4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풀이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