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 약세 마감…트럼프 관세 압박 지속 영향
나스닥 0.53%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이틀째 주가를 짓눌렀다.
2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5.09p(0.37%) 밀린 42,299.7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89p(0.33%) 떨어진 5,693.31, 나스닥종합지수는 94.98p(0.53%) 하락한 17,804.03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전반적으로 보합권에서 오르내리며 갈피를 못 잡았다. 트럼프의 '현란한' 관세 부과 움직임에 투자자들의 피로감이 느껴졌다.
트럼프는 전날 모든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투자 심리를 냉각시켰다. 나스닥 지수는 전날 2% 넘게 급락했으며 S&P500 지수도 1% 넘게 떨어졌다.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에도 트럼프의 관세 압박은 지속됐다.
트럼프는 이날 새벽 2시경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유럽연합(EU)과 캐나다가 협력해 미국에 경제적 피해를 주면 훨씬 더 큰 과세를 물리겠다"며 "양국의 가장 친한 친구(미국)를 보호하기 위해 현재 계획한 것보다 훨씬 더 큰 대규모 관세를 두 나라에 부과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업종별로 보면 필수소비재만 1% 상승했고 임의소비재와 의료 건강은 강보합이었다. 나머지 업종은 모두 하락했다.
거대 기술기업 그룹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방향이 엇갈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는 강세였으나 엔비디아는 2.05% 떨어졌고 메타와 알파벳도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압박과 중국 정부의 환경·에너지 규제 압박을 동시에 받으며 주가가 약세를 이어갔다.
테슬라는 25%의 자동차 관세로 반사 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기대감에 장 중 7% 넘게 뛰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로 접어들며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반면 미국 정통 자동차업체들은 자동차 관세 압박으로 투심이 꺾였다.
특히 제너럴모터스(GM)는 미국 내 판매 차량 중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조립해 수입하는 비중이 특히 크다는 분석에 주가가 7% 넘게 떨어졌다. 포드는 4% 가까이 떨어졌고 스텔란티스는 1%대 하락률이었다.
비트코인 투자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한 비디오게임 유통 체인 게임스탑은 이날 주가가 22% 폭락했다. 비트코인 매수를 위한 13억달러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주가 희석에 대한 우려가 확산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된서리를 맞았다.
TSMC와 AMD, 브로드컴은 4% 안팎으로 하락했다.
AMD는 AI 분야에서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제프리스의 분석에 투심이 차가워졌다.
금융지주회사 제프리스 파이낸셜 그룹은 자체 회계연도 1분기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이 모두 예상치에 밑돌며 10% 가까이 급락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영국 "트럼프에 '관세 보복' 주저하지 않을 것"…막바지 협상 중
2케이뱅크, 금융권 최초 ‘KT AI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 도입
3 코스피 공매도 재개 첫날 장 초반 2,500선 하향 이탈
4KB증권, 투자정보 플랫폼 '스탁브리핑' 오픈…대체거래소 대응 강화
5“연 7% 금리 RP 특판” 카카오뱅크, 한국투자증권 RP 상품 총 5종 입점
6“불법사금융, ‘사후단속’ 아닌 ‘사전예방’이 답이다”
7홈플러스 사태, MBK가 간과한 것들...법제도개선 논의 필요
8IPO 격전지에서 살아남기…성주완 본부장의 승부수는 ‘조직 경쟁력’
9토허제 해제 여파에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 급증…10건 중 3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