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정치테마주' 연일 활활…과열 조짐에 '이것' 발동
- 한국거래소 "투자피해 사전 예방을"
'투자경고 이상' 115종목 중 60종목

지난 23일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의 이상급등과 관련하 투자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를 위한 것"이라고 밝히며 '투자유의 안내'를 발동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여야 각 대선후보 등판에 따른 관련 테마주의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8일 현재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115종목 중 52%인 60종목이 정치테마주였다. 같은 기간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종목 중 56%인 34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됐다.
특히 지난 1~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37개 종목 중 78%인 29종목이 정치테마주로 과열양상이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코스피 16.47%·코스닥 24.12%) 대비 약 6배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은 자산규모 및 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 위주였고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종목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유가증권시장 3317억원(시장 평균 2조2290억원), 코스닥시장 590억원(시장 평균 1214억원) 수준이다.
유가증권시장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36억원(시장 평균 1506억원)·당기순손실은 10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454억원), 코스닥시장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5억원(시장 평균 51억원)·당기순손실은 5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6억원) 수준을 보였다.
정치테마주의 경우 정치인과의 단순한 연결고리(출신학교·친인척·지인·지역 등)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정치뉴스나 여론조사 결과 또는 테마소멸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어, 과열된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거래소는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주가 및 거래가 급증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추종매매를 자제하고, 기업의 실적, 재무상태 및 시장환경 등 펀더멘탈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결정을 당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나는 솔로’ 6기 영철♥영숙, 둘째 임신…”넷이서 찍은 첫 사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K팝 아이돌, 잇단 성 정체성 고백..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세금 적게 낸 보험사들…5년 뒤면 5조원 더 내는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