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현대차·기아·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해 경영투명성 높인다
- 초대 선임사외이사에 심달훈·조화순·김화진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인 선임(先任) 사외이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해 경영 투명성을 높인다고 27일 밝혔다. 이들 회사는 이달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확충해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로 두고 있다. 초대 선임사외이사로는 현대차 심달훈 사외이사(전 중부지방국세청장), 기아 조화순 사외이사(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대모비스 김화진 사외이사(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각 선임됐다.
국내 법령에 따르면 비금융권 기업은 선임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취지에서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를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원이다. 각 사는 사외이사 전원이 참여하는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앞서 3사는 지난달 사별 이사회에서 등기이사 보수한도를 심의·의결하는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다. 이사회 내 위원회를 사외이사 중심으로 구성해 독립성을 증대하기 위한 취지다.
이사회 결의로 3사 이사회의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전환했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가 사외이사로 구성됐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더불어 사외이사회 신설, 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이재명, 대선후보 확정…경선서 89.77% 득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MLB 진기록에 '포도대장' 박경완 소환,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이재명, 대선후보 확정…경선서 89.77% 득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최근 3년 영업익 성장률 187%"…바이오비쥬, 코스닥 상장으로 날갯짓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