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창용 한은 총재 "제로금리 근접…양적완화 장단점 고민할 시점"

이 총재는 이날 한은과 한국금융학회가 공동으로 연 정책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우리 경제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이 진행한 양적완화 대신 기준금리 조정 등 전통적 통화정책으로 대응이 가능했지만 향후 기준금리가 0%에 가까워지는 상황에 대비해 양적완화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 등을 사들여 시중에 돈을 푸는 방법이다.
이 총재는 “만약 이런 수단을 활용하기 어렵다면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정책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통화정책 수단 중 하나인 공개시장운영 보완 방안이 핵심 주제로 다뤄졌다. 공개시장 운영은 중앙은행이 은행과 증권사와 유가증권을 사고팔면서 시장 유동성을 움직이는 수단을 말한다.
이 총재는 해외주식 투자 등이 늘어나면서 중앙은행의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흡수할 유동성이 줄어들어 RP 매입 제도를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추세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가 증가하는 등 유동성 수급 여건에 중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 변화를 고려할 때, 그동안 통화정책 운영체계에서 기조적인 유동성 흡수 수단으로 주로 활용돼온 통화안정증권의 역할을 재점검할 필요가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은의 RP 거래도 유동성 변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과방위, 최태원 회장 증인 불출석...‘SKT 청문회’ 5월 8일 개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건진 커넥션` 檢 압색 영장, 김건희 참고인 적시…"선물 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