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전문가들 "韓경제, 성장동력 떨어져…새정부 노력 따라 반등 가능"

국내 전문가 10명 중 6명 꼴로 향후 5년간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이 약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새 정부가 이런 위기 속에서도 투자 활성화와 미래 산업 육성 등 정책 노력을 통해 성장 추세를 반등시킬 수 있다고 제언했다.
리딩 산업 없다…AI 핵심 투자해야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경제·경영 전문가 102명을 대상으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21.6%는 '점진적 우하향'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응답하는 등 전체의 61.8%가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 저하를 우려했다.
경제 성장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새 정부가 출범 1년 내 우선 추진해야 할 경제 정책을 3순위까지 물은 항목에는 '기업투자 활성화'(69.6%)와 '대외통상 전략 수립'(68.6%)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향후 5년간 중점 추진해야 할 정책에 대한 설문에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이라는 답이 7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출생·고령화 대응'(58.7%), '규제 개선'(32.3%), '인재 양성'(31.4%), '재정·사회보험 지속가능성 확보'(26.5%), '지역경제 활성화'(26.5%) 등 순이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현재 한국 경제에는 70, 80년대의 중화학 공업, 2000년대 이후의 IT처럼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리딩 섹터가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을 위해 인공지능(AI) 산업 핵심 분야에 투자가 집중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기술과 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하고,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사회에 맞는 교육 체계 개편 및 AI 고급 인재의 체계적 육성 등을 함께 수행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저성장 탈피 위해 '미래 신산업 육성' 필요
단, 우리나라의 경제 시스템과 산업 구조 개혁에 성공할 경우 2030년대 잠재 성장률이 얼마나 상승할 수 있을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31.4%는 '1.5~2%', 26.5%는 '1~1.5%'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KDI의 2030년대 잠재 성장률 기준 전망치인 0.7%를 웃도는 수치로, 정부와 기업의 노력에 따라 하락하는 성장률 추세의 반등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새 정부는 어떤 정부여야 하는가'는 주관식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의미 유사성에 의해 집계한 결과 전문가의 21%는 '미래 신산업 육성에 진심인 정부'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답했다.
이어 '경제 체질을 바꾸는 정부'(16%), '민간 중심의 경제구조를 만드는 정부'(11%),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일하는 정부'(10%) 등 답변이 많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17년 만에 노사공 전격 합의(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마켓인
'성폭행 혐의' 前 NCT 태일, 1심서 실형 선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17년 만에 노사공 전격 합의(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1년 만에 매출 233% 상승한다는데...씨어스테크놀로지, 주목해야 할 까닭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