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금리 하락에도 은행 6월 주담대 금리는 0.06%p↑… 연 3.93%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가 7개월 연속 하락했지만 가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다섯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6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21%로 집계됐다. 5월(4.26%)보다 0.05%포인트(p) 낮아졌다. 가계대출 가운데 일반 신용대출 금리도 5.21%에서 5.03%로 0.18%p 하락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87%에서 3.93%로 0.06%p 올랐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0.01%포인트 오른 3.71%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가능성에 따른 지표금리 상승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5월 금리를 인하했지만, 부동산 시장 불안이 가중되자 7월에는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했다. 이 영향으로 6월 은행채 5년물(+0.11%포인트) 및 2년물(+0.06%포인트) 금리 상승에 주담대와 전세자금 대출금리가 올랐다. 반면 단기 지표금리(은행채 단기물 및 코픽스) 하락 등의 영향으로 일반신용대출은 하락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0.1%포인트 하락한 4.06%를 기록했다. 단기 시장금리(CD 91일, 은행채 단기물 등)가 하락한 영향 등으로 대기업(-0.15%포인트)과 중소기업(-0.06%포인트) 모두 떨어졌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6월 주담대 금리 상승은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 물 등이 오른 영향이 컸다”며 “기준금리 인하를 몇 번, 언제 할 것이냐는 부분에 대한 조정이 장기 금리에 선반영된 데 기인한다”고 말했다.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55%로 4월보다 0.08%포인트 낮아졌다. 순수 저축성 예금은 정기예금(-0.1%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0.10%포인트 하락한 2.54%를 기록했다. 시장형금융상품은 CD(-0.08%포인트)를 중심으로 0.03%포인트 내린 2.55%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 기준 예대금리차는 1.54%포인트로 나타났다.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9월 1.22%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7개월 연속 확대되다가 지난 4월부터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20%포인트로 5월(2.19%)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김 팀장은 “은행채 5년물 금리는 6월에 올랐고 7월에는 큰 변화가 없이 보합세를 보였다”며 “은행채 금리가 주담대 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차은우 측 “군부대로 보낸 편지·선물 모두 폐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오늘 韓 25%관세인하 제안 듣겠다"...4천억불 카드 나오나(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애경산업 인수 3파전…태광 유력설 속 몸값·성장성 의문 여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대웅제약, 이데일리·기자 상대 무더기 소송서 패소...법원 “공익 목적, 위법 없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