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 관세 12.5% 주장
美는 15% 입장 고수
車관세, 끝내 15% 타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1일 용산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우리는 12.5% 수준의 관세를 끝까지 밀어붙였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유럽도 같은 수준인 15%가 적용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 측도 우리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입장은 모든 품목에 15%’라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를 끝까지 관철하려 할 경우 다른 협상의 틀 자체가 흔들릴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자동차에 대해 미국 내 관세가 면제돼 왔다. 반면 일본과 유럽연합(EU)은 수출 차량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담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형평성을 고려해 한국산 자동차에도 최대 12.5%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지만, 이는 정책에 반영되지 않았다.
김 실장은 "향후 반도체나 의약품 등 주요 품목의 관세 협상이 있을 경우, 이번 합의보다 불리하지 않도록 최혜국 대우를 명문화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강훈식 "피 말리는 심정…李대통령, 역사에 죄짓지 말자더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승 '드라이브' 걸었다! 한화, NC 손아섭 영입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스코틀랜드까지 쫓아간 韓경제팀…긴박했던 ‘막전막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상인저축은행, OK금융 이탈에 PEF 인수설 부상…매각 장기전 가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월간 맥짚기]줄줄이 경영권 변동…마운자로 상륙에 쏠리는 이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